학술논문
중장년층 성인학습자의 지역사회 디지털 크리에이터 아카데미 참여경험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Study on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middle-aged adult learners in the community digital creator academy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조민경 김선주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19권 제6호, 29~5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산지역 P대학의 지역사회 디지털 크리에이터 아카데미 과정에 참여한 중장년층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에게 디지털 역량은 무엇이며, 디지털 역량 습득과정에서 참여경험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심층적인 탐구를 위해 프로그램기간인 15주동안 참석률이 높고 실생활에 디지털 기기 활용 및 교육 등에 적극적이었던 중장년층 성인학습자 6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중장년층의 디지털 크리에이터 경험은‘디지털 사회의 일원으로서의 시작점에 서기’,‘소비만 하던 나에서 올바른 생비자(생산소비자) 되기’,‘기록의 저장소로 만들고 활용하기’,‘자신의 콘텐츠와 채널공간을 구축하고 이를 확장하기’로 나타났다. 이들에게 본 과정의 참여경험은 개인별로 디지털 콘텐츠의 기획과 편집능력을 습득하고 자신이 디지털사회의 한 구성원이 되어 디지털 콘텐츠를 비판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시각을 가진 생비자(생산소비자)로 성장하는 것이었다. 또한, 이들에게 영상기록이라는 것은 SNS를 활용한 단순한 기록이 아닌 자기표현이자 다양한 세대(가족, 지인, 동료, 온라인 불특정 다수 등)와의 소통의 도구임을 확인하고 그 커뮤니티에 소속 구성원이 되는 활동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장년층 성인학습자들이 자신에 대한 이해, 사회참여, 성공적인 노화를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맞춤형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what digital competence is to middle-aged and older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digital creator academy course at P University in Busan and the meaning of their participation experience in acquiring digital competence. In order to explore this in-depth, six middle-aged and older adult learners who had high attendance rates and were active in using digital devices and education in real life during the 15-week program period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Data analysis utilized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digital creator experiences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ere 'standing at the starting point as a member of the digital society,' 'becoming a proper consumer (producer) from a consumer,' 'creating and utilizing a repository of records', and 'building and expanding their own content and channel space.' For them,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is course was to acquire the ability to plan and edit digital content individually and to become a consumer (producer) who can critically interpret digital content as a member of the digital societ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video recording was not a simple record using SNS for them. However, it is a tool for self-expression and communication with various generations (family, acquaintances, colleagues, and unspecified online people.), and it was also activity that became a member of that community. These research results presented implications for various customized education that can help middle-aged and older adult learners realize self-understanding, social participation, and successful ag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시대적 사고를 반영한 발터 벤야민의 예술론과 연극교육론
-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지속가능한 패션소비 동향 분석
- 가정 교과의 지역사회 연계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 준거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