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팬데믹 시대, 내러티브 기반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와 가능성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예술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and Potential of Narrative-Based Arts Education in the Pandemic Era - Focused on the Case of K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Weekend Arts Campus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구민정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19권 제6호,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 시기, 2021년과 2022년 두 해에 걸쳐 진행된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초등학생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례의 주요 의미를 정리하고 그 과정을 소개하는 내용이다.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교육 환경 속에서 실행한 온라인,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내러티브 기반 문화예술교육이 학생들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하고, 소통의 힘을 중심으로 사회적 자아와 시민의식을 형성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 과정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실행적 사례연구로, 지역사회의 이야기를 소재로 내러티브 기반 문화예술교육과정을 기획하여 실행하고, 교육과정 기획 및 실행을 담당한 강사들의 심층 인터뷰와 학생, 학부모의 경험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이 비대면 상황에서도 학습자에게 미친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내러티브 기반의 문화예술교육은 학생들에게 사회적 자아와 협력을 통한 시민의식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다양한 예술 활동을 통해 정서적 안정을 제공하고 상호 소통의 기회를 확대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이 상징적 소재를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창조하고 표현함으로써, 팬데믹 상황 속에서도 정서적 안정, 자기표현과 소통, 관계 형성의 필요성을 충족할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사회적 위기 상황에서도 지속 가능한 문화예술교육의 모델을 제시하고, 예술교육의 확대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and processes of narrative-based cultural arts education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2021 and 2022. The programs, delivered through online and hybrid online-offline formats, aimed to provide emotional stability and foster social identity and civic awareness in a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Using an action-oriented case study method, the study implemented a curriculum centered on local community stor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instructors and the experiences of students and parents. Analysis revealed that narrative-based cultural arts education contributed to students' emotional stability, communication skills, and collaborative social awareness. Through artistic activities such as storytelling, students expressed their ideas, created personal narratives using symbolic materials, and strengthened relationships despite pandemic-induced isolation. The programs demonstrated that cultural arts education fulfills essential needs for self-expression and interpersonal connection while fostering creativity and resilience in crisis situat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sustainable cultural arts education models during societal disruptions, offering a framework for expanding arts education in diverse educational setting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실행 사례와 결과분석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민정. (2024).팬데믹 시대, 내러티브 기반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와 가능성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예술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19 (6), 1-28

MLA

구민정. "팬데믹 시대, 내러티브 기반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와 가능성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예술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19.6(2024):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