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자아효능감 및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
- 영문명
- The Effect of Nurse Image,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농촌간호학회
- 저자명
- 최순옥 정애리
- 간행물 정보
- 『한국농촌간호학회지』제19권 제2호, 101~10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nursing profession, nurse image,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establishing a positive nursing profession. Methods: We conducted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nursing profession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e collected data from 129 students enrolled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a university in Gyeonggi-do, using the SPSS/WIN 23.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scores were as follows: nursing professionals at 3.70±0.44 out of 5, nurse image at 3.98±0.40, self-efficacy at 3.17±0.44, and major satisfaction at 4.23±0.57. Factors influencing the nursing profession included age, motivation for choosing a nursing department, major satisfactionand nurse image, with nurse image being the most influential factor, explaining 35.7% of the varianc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profession, and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help nursing students establish a positive view of the nursing profession.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의 업무변화 경험
- Omega-3 Fatty Acid Intake and Blood Lipids in Rural Older Adults: Analysis of the 202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농촌 지역 노인의 근감소증 예방을 위한 운동·영양 복합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 워크샘플링을 활용한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의 업무분석: 의료취약지 원격협진 업무를 중심으로
-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직무교육요구도 분석
-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자아효능감 및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웰다잉 교육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태도, 작성 의향 및 장기 기증 의향에 미치는 효과
-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와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 ICT기반 노르딕워킹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 지역사회 노인 대상 AI 기반 의료시스템 적용 현황에 대한 주제 범위 문헌 고찰
-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상태가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청소년의 취침 전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중환자실 간호사의 개인보호구에 대한 지식, 태도, 안전환경 인식과 착용 수행도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의 업무변화 경험
- Omega-3 Fatty Acid Intake and Blood Lipids in Rural Older Adults: Analysis of the 202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농촌 지역 노인의 근감소증 예방을 위한 운동·영양 복합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