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고등학교 환경 교과서의 에너지 교육 및 기후변화 교육 관련 첨단과학기술 내용 분석
이용수 19
- 영문명
- Analysis of the Contents on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Related to Energy Education and Climate Chang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Environment Textbooks
- 발행기관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 저자명
- 박재근
- 간행물 정보
-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4권 제3호,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 ‘환경과 녹색성장’, ‘환경’ 교과서에 반영된 에너지, 기후변화 교육 관련 첨단과학기술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첨단과학기술의 구성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너지 교육 관련 첨단과학기술은 주로 에너지 개념, 에너지 문제 해결 방안, 에너지와 정치⋅사회⋅경제적 관계 영역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후변화 교육 관련 첨단과학기술은 주로 기후변화의 대응 중심으로 제시되어 있고, 그다음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이었다. 기후변화의 영향에서는 기후변화와 관련한 미래 직업의 예를 비중있게 제시하고 있다. 셋째, 에너지 교육 관련 첨단과학기술의 서술 방식에서 ‘이용’과 ‘영향’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기후변화 교육 영역의 경우 ‘영향’이 ‘이용’보다 높은 편으로 에너지 교육 영역의 결과와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환경 교과서에 첨단과학기술의 반영 비중을 높이고 내용 요소의 수준을 미래지향적으로 업그레이드하며, 미래 진로교육과 연계하여 제시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related to energy and climate chang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Environment and Green growth” and “Environment” textbooks, and based on that, sought how to organize th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related to the energy education mainly focused on the energy concepts, solutions to the energy problems, and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relationships related to energy. Second, th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related to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was mainly presented as a response to climate change, followed by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s a result of the effect in climate change, future jobs related to it were created in large numbers. Third, in the descriptive style of th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related to energy education, the ratio of the “use” and “effect” was found to be high, but in the area of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the “effect” was higher than the “use.”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results for the energy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strategies are needed that would increase the proportion of th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environmental textbooks, upgrade the level of the content for it to be future oriented, and present them in connection with the future career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및 내용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