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회복탄력성 리더십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28
- 영문명
-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Developing Integrated Model on Variables of Resilient Leadership: Focusing on Korean Journal Articles
- 발행기관
- 한국기업교육학회
- 저자명
- 심현정 송영수
- 간행물 정보
- 『기업교육과 인재연구』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26권 제3호, 55~9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의 경영환경은 변화속도가 빠르고 불확실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까지 코로나와 같은 전세계적인 팬데믹으로 인해 기업과 조직은 이전에 경험해본 적이 없는 위기상황에 직면했다. 이러한 위기상황과 어려운 국면에는 변화된 상황에서 조직의 안정과 성과창출을 지속하고 구성원들의 불안감을 회복시키고 조직에 대한 몰입과 애착을 지속시킬 수 있는 회복탄력성의 리더십이 매우 필요하다. 그러나 위기를 극복하는데 회복탄력성 리더십이 중요함에도 관련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과 같이 빠른 변화와 불확실성이 높은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리더십으로 회복탄력성 리더십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국내에서 출간된 회복탄력성 리더십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통합모델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PRISMA에서 제시한 체계적 문헌고찰 방식과 Torraco(2005, 2016)가 제시한 통합적 문헌고찰 방식을 적용하여 64편의 회복탄력성 리더십 관련 국내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복탄력성 리더십에 대한 주요 연구동향으로 국내에서의 연구는 2013년부터 시작되어 2020년 코로나 이후 경영학, 교육학, 인문사회학, 스포츠/체육학 분야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회복탄력성 리더십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는 대부분 개인 수준의 양적 연구방식을 적용한 연구 중심으로 진행 되어왔다. 일부 팀 수준에서 회복탄력성과 조직의 회복탄력성 연구가 수행되긴 했으나, 주로 개인의 회복탄력성과 리더십 변인과의 관계가 연구되어왔다. 회복탄력성 리더십의 측정도구는 주로 Luthans, Youssef, & Avolio(2007)의 측정도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회복탄력성 리더십은 주로 매개변수와 조절변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둘째, 회복탄력성 리더십과 관련된 독립변수, 종속변수, 매개변수, 조절변수를 개인 수준, 팀 수준, 조직 수준의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개념모델로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 비인격적 감독, 직무 스트레스, 이직의도, 조직침묵, 일-가정갈등, 일-가정 경계강도 등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회복탄력성 리더십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 리더십 관련 국내 양적연구 중심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였기에 향후 해외 문헌으로 확대하여 분석하고, 질적연구, 종단연구, 다층분석, 메타분석 등 다변화된 연구방법론을 적용한 후속 연구들이 더 활발하게 연구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Many Organizations are under crisis due to the turbulent environment and pandemic of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present conceptual integration model on variables of resilient leadership. To this end,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hich was presented by PRISMA and the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performed by Torraco(2005, 2016) were applied to analyzed a total of 64 domestic prior research on resilient leadershi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resilient leadership have begun in earnest in mid-2013 with research focusing on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and psychological science field. Resilient leadership research was centered on cross-sectional and individual level. Resilient leadership was mainly measured based on tools by Luthans, Youssef, & Avolio(2007). Second, variables of resilient leadership could be classified into a total of three levels; individual, team and organizational levels. Third, the conceptual model of resilient leadership was identified as independent variables(29), determinate variables(33), mediate variables(15), moderator variables(9) by three levels. Based on those results, further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bout resilient leadership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a research to compare and analyzed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 on resilient leadership wit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So it should be consider making the criteria for selecting foreign literature more systematically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literature review that will be expanded in the future. Second, it is needed to apply statistical methods to quantitatively compare the influence among variables affecting on resilient leadership. Third, further study should be apply various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theoretically synthesis and empirically verify on resilient leadership.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회복탄력성 리더십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연속근사모형(SAM)을 기반으로 한 사례연구(Case Study) 활용 기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 A사 시장조사 직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HRD 연구와 행정조직 조직성과 연구의 주제어 유사성 탐색을 통한 HRD의 확장성 논의
- 조직후원인식이 장인적 성취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의 매개효과와 일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 생성형 AI와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기업교육 연구 동향 분석
- 공공연구기관 신입 연구개발 인력의 조직경력관리지원, 경력만족, 이직의도 간 관계: 개인-환경 적합성의 조건부 직간접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