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생평가 역량 및 형성적 피드백 실행역량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요구도 탐색
이용수 28
- 영문명
- Investigation of Educational Demands on the Student Assessment Competency and Formative Feedback Practice Competency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윤회정(Yoon, Heojeong) 방담이(Bang, Dami)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28권 제4호, 309~32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학생평가 역량 및 형성적 피드백 실행역량에 대해 초등 예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와 실행도를진단하고, 교육요구도의 수준과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소재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82명의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및 차이를 파악하고 Borich 지수와 IPA 매트릭스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예비교사는 학생평가 역량의 ‘평가계획 및 도구개발’ 범주에 대해 높은 교육요구도를 보였으며 구체적으로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평가계획 수립, 학습목표에 부합하는 평가방법 선정 항목이 집중강화 영역에 해당하였다. 또한 학생평가 역량의 ‘결과 환류’ 및 ‘평가 시행’ 범주에서는 평가 결과의 교수 학습 방법 환류, 과목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록 등 교사 교육 상황보다는 실제 현장 상황에서 경험 가능한 항목이 집중강화 영역에 해당하였다. 형성적 피드백 실행역량 관련 항목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높지 않았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도 인식을 보이는 항목이 많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agnose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of student assessment competency and to identify formative feedback practice competency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ith 82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at an education college in Gangwon Province, the study analyzed their perceptions and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ractice of these competencies. Additionally, Borich index and an IPA matrix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demonstrated the high educational demand in the category of ‘assessment plan and tool development’ in the competency of student assessment. Particularly, items such as developing assessment plans aligne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selecting assessment methods aligned with the learning objectives were classified as the area of Concentrate here. In the categories of ‘feedback and usage for assessment results’ and ‘conducting assessment’, items such as feedback of assessment results to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recording detailed subject-specific abilities and special skills were classified to the area of Concentrate here, These items were more likely to be experienced in real-world classroom settings, rather than in teacher education contexts. Regarding formative feedback practice competency, no item showed high educational demands, and many items were perceived as relatively less importan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I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마이닝 기반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미술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생태교육에 도전하는 역사교사들: 교사의 행위주체성을 중심으로
- 비형식적 통계적 추리 학습에서 표현유연성의 역할
- 학습유형, 쓰기 신념, 쓰기 불안과 쓰기 수행의 관계
- 학생평가 역량 및 형성적 피드백 실행역량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요구도 탐색
- 2022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데이터 기반 탐구활동 분석
-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Boredom Attribution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EFL Learning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군집분석을 이용한 농촌 청년 활성화 지역 특성 분석
- 말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고등학교) 교사의 ICT 리터러시와 ICT 활용 수업 의도 관계 분석
- 영성지능이 영역초월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