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한 실질적인 편성·운영 방향 탐색

이용수 127

영문명
Exploring the Direction of Practical Organization and Operation through Critical Consideration of ‘School-Designed Autonomous Hours’
발행기관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저자명
김홍일(Hong-Il Kim) 이지은(Ji-Eun Yi)
간행물 정보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2권 제2호, 157~18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도입된 학교자율시간에 관심을 가지고 교육과정 분권화와 자율화의 방안인 학교자율시간의 목적을 잘 구현할 수 있는 방향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학교자율시간의 문제점을 ‘학교’, ‘자율’, ‘시간’의 관점에서 밝히고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 문서 개선방안과 내실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자율시간의 문제점은 교사나 학급 단위의 활동으로 인식하는 경향, 타율에 의해 자율을 강요당하는 형태, 시수 산출 방식과 실제 확보 방식의 불일치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새로운 과목이나 활동을 강조하는 문서 진술로의 전환, 시간 배당 기준표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장 안착을 위한 내실화 방안으로 과목과 활동의 명확한 안내, 기존의 자율화 정책과의 연계, 승인 절차 간소화, 학교 단위 협의체 구축, 지원 체제 구축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interested in the newly introduced School-designed Autonomous Hour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explore ways to implement the purpose of School-designed Autonomous Hours, which is a measure of curriculum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roblems of School-designed Autonomous Hours were revealed from the perspectives of ‘school’, ‘autonomy’, and ‘hour’ using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nd based on this, a plan to improve and strengthen the curriculum document was propos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blems with School-designed Autonomous Hours were found to be the tendency to perceive it as an activity by a teacher or a class, the form of autonomy being forced by heteronomy, an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hours and the method of actually securing it. As a way to improve these problems, it was proposed to convert to written statements that emphasize new subjects or activities and to improve the time allocation. Finally, it was proposed to provide clear guidance on subjects and activities, link them with existing autonomy policies, simplify approval procedures, establish a school-level consultative organization, and establish a support system as a way to improve on-site stabiliz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비판적 고찰
Ⅳ. ‘학교자율시간’ 개선 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홍일(Hong-Il Kim),이지은(Ji-Eun Yi). (2024).‘학교자율시간’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한 실질적인 편성·운영 방향 탐색.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12 (2), 157-183

MLA

김홍일(Hong-Il Kim),이지은(Ji-Eun Yi).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한 실질적인 편성·운영 방향 탐색."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12.2(2024): 157-1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