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35
- 영문명
- Narrative Inquiry on the Practicum Experience of Student Teachers in High School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박은진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2권 제2호, 7~3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실습에 참가한 세 명의 중등 예비교사들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교육실습은 대학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을 현장에 적용하고 교직 적성을 확인하며 교사로서의 소양과 태도를 기르는 실천적 경험을 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가 교육실습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이 예비교사에게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2022년 5월부터 8월까지 K고등학교에서 4주간 교육실습에 참가한 예비교사 3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주제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이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한 결과 주제는 1) 수업 참관 기회의 제한, 2) 수업 실습, 3) 학생들과 관계 맺기, 4) 지도교사의 피드백, 5) 실습 학교의 교육실습 시스템 부재, 6) 힘들고 혼란스러웠던 교육실습 기간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이 예비교사로서 경험한 혼란과 어려움을 바탕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용한 수업참관 및 나눔, 수석교사 수업 컨설팅 및 멘토링, 실습 학교에서의 적극적인 지도교사 매칭 등 질적으로 보장된 교육실습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experiences of student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practicum. The practicum is an important process where theoretical knowledge learned in university is applied in real settings, confirming teaching aptitude, and cultivating practical experience to develop the qualities and attitudes of a teach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student teachers in high school during the practicum and the significance of these experiences for them. For the researc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student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 four-week practicum at K High School from May to August 2022. Through thematic analysis of their narratives, the following themes emerged: 1) limited opportunities for class observation, 2) teaching practice, 3) building relationships with students, 4) feedback from teachers, 5) the absence of a structured teaching practice system at the practicum school, and 6) a challenging and confusing teaching practice period. Based on the confusion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the study proposed institutional support for high-quality practicum, such as the use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for class observation and sharing, consulting and mentoring by master teachers, and proactive matching with mentor teachers at the practicum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메시스 관점에서의 내러티브 정체성 : 진로구성주의를 중심으로
- 중등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주거복지시설 거주 초고령 노인의 좋은 죽음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한 실질적인 편성·운영 방향 탐색
- 한국 교육학의 새로운 담론으로서 내러티브 교육학의 구성
- 내러티브와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통합 가능성 연구 - 중학교 국어 교과를 중심으로
- ‘시험인간’의 달리기는 어떻게 계속되는가? :‘주도적’으로 사교육에 참여한 대학생의 학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IB MYP 공동체 프로젝트 활성화 방안 : 도시재생실천 지역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군집분석을 이용한 농촌 청년 활성화 지역 특성 분석
- 말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고등학교) 교사의 ICT 리터러시와 ICT 활용 수업 의도 관계 분석
- 영성지능이 영역초월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