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중등학교 학생의 가치와 학업 변인 간 관계 탐색

이용수 5

영문명
Relations of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Values to their Academic - Related Variables and Achievement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오문정 고한나 박용한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36권 제2호, 139~17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들이 중요시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탐색하고 이 시기 학생들의 학업 관련 변인 및 성취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학생 403명, 중등학교 학생 54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변인들에 대한 기술통계, 상관분석과 더불어 초등 및 중등학교 학생 간 비교를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가치가 학업 관련 주요 변인들을 어떻게 예측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및 중등학교 학생들의 가치 우선순위는 개방성, 자기초월, 보수주의, 자기고양의 순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 및 중등학교 학생들 모두에게서 긍정적인 학업 관련 변인을 개방성 상위가치는 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자기고양 상위가치는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방성 상위가치에 속하는 자기주도-사고 가치가 높을수록 학업 관련 변인도 일관되게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학생들에 비해서 중등학교 학생들의 경우 자기주도-행동 가치가 학업 관련 변인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중등학생들이 자신의 삶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가 이들의 학업에서도 의미 있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학업 증진을 위해 이들이 개방적이고 자기주도적인 가치를 함양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따라 학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가치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ues th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consider important and to examine the role of academic variables and achievements of students during this period.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primary (n=403) and secondary (n=540) school students. To analyze the primary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al analyses were conducted,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tilized to compar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whil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values predict key academic-related variabl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rioritized values for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appeared in the order of openness, self-transcendence, conservation, and self-enhancement. Second, while openness as a higher-order value positively predicted favorably academic variables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self-enhancement was found to negatively predict them.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self-determination-thought value as a sub-values of openness, the more consistently positive the academic variables were. Third, self-determination-action was found to more positively predict academic variables for secondary students than for primary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values that they consider important in their lives play a meaningful role in their academic pursuits. Furthermore, in educational settings, efforts should be made to foster the values of students’ openness and self-determination to enhance their academic performance, and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values helpful for academic achievement may vary depending on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문정,고한나,박용한. (2024).초・중등학교 학생의 가치와 학업 변인 간 관계 탐색. 교육방법연구, 36 (2), 139-170

MLA

오문정,고한나,박용한. "초・중등학교 학생의 가치와 학업 변인 간 관계 탐색." 교육방법연구, 36.2(2024): 139-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