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인 발달장애인 대상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4

영문명
Impact of an Instrumental Daily Living Activities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ir Daily Living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발행기관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정은화
간행물 정보
『재활치료과학』제13권 제2호, 85~94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28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을 때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실험설계로, E 장애인복지관의 성인 발달장애인 17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은 사전-사후 평가를 포함하여 총 10회기로 이루어졌으며, 장보기, 식사준비 및 정리, 가정관리, 안전 및 응급관리와 관련된 훈련 및 교육을 제공하였다. 평가도구는 삶의 질 설문지 (Quality of Life: QOL), 한국어판 생활공간 평가(Korean version of the Life Space Assessment: K-LSA), 한국어판 수단적 일상생활활동(Korean version of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을 사용하였다. 결과 :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작업치료 프로그램 전과 후의 QOL과 K-IADL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K-LSA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 대상으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프로그램을 시행함으로써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도와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성인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 및 사회참여를 영위하기 위해 일상생활활동 훈련을 포함한 작업참여의 중재가 확대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an instrumental daily living activity program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ir daily living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QOL). Methods : This study used a single-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Participants comprised 17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This program consisted of 10 sessions, including pre- and post-assessments, pertaining to training and education on grocery shopping, meal preparation and cleaning, home management, safety, and emergency management. The evaluation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of the Life Space Assessment (K-LSA), and Korean version of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Results :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OL and K-IADL scores before and after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K-LSA scores.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that implementing an IADL program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and QOL.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daily life and society, interventions for work participation, including training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must be expand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은화. (2024).성인 발달장애인 대상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재활치료과학, 13 (2), 85-94

MLA

정은화. "성인 발달장애인 대상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재활치료과학, 13.2(2024): 85-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