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의 주관적 경력성공 인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이용수 6

영문명
Identifying Latent Profile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Freelance Corporate Instructors
발행기관
한국성인교육학회
저자명
박보람
간행물 정보
『Andragogy Today』제26권 제3호, 109~13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의 주관적 경력성공 인식 차이에 따른 유형 구분 및 유형별 특성과 경력역량 변인 수준 차이를 규명하는 데 있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국내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 357명의 주관적 경력성공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수집하여, 주관적 경력성공 잠재집단 구분을 위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ANOVA, χ²검정을 활용하여, 유형 간 특성과 경력역량 변인 수준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경력성공 하위요인 인식 차이는 유의하였으며, 총 4개의 잠재집단이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집단 1(경력성장만족․일-삶조화형), 집단 2(다차원 만족형), 집단 3(보상․경력성장 불만족형), 집단 4(보상불만족․일확보낙관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잠재집단별 특성은 최종학력, 결혼유무, 연령, 프리랜서 경력연수, 전체 경력연수에 따라 잠재집단별 평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잠재집단별로 경력역량의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잠재집단 2(다차원 만족형),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잠재집단 3(보상․경력성장 불만족형)의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들의 주관적 경력성공 인식에 대한 유형과 유형별 특성 차이를 고려하여 경력개발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후속 연구 및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types according to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freelance corporate instructor,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the level of career competency variables. To do this, survey data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perception of 357 domestic freelance corporate training instructors were collecte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to classify latent type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ANOVA, χ² Using the tes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haracteristics and career competency variables between types were analyz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ub-factor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among freelance corporate instructors was significant, and a total of 4 potential groups were derived. group 1(Career Growth Satisfaction․Work-life Balance Type), group 2(Multidimensional Satisfaction Type), group 3(Compensation․Career Growth Dissatisfaction Type), and group 4 (Compensation Dissatisfaction․Optimism about Employability Type)are name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each latent group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each latent group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final level of education, marital status, age, years of freelance experience, total years of experienc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career competency by latent group, the average of latent group 2 (multidimensional satisfaction type) was the highest, and the average of latent group3(Compensation․Career Growth Dissatisfaction Type) was relatively the low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career development by considering the type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perceptions of freelance corporate instructors and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y type. Finally, follow-up studies and practical suggestions a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보람. (2023).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의 주관적 경력성공 인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Andragogy Today, 26 (3), 109-134

MLA

박보람.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의 주관적 경력성공 인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Andragogy Today, 26.3(2023): 109-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