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수업전문성과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6
- 영문명
- The Impac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digital literacy competence on their teaching quality and teacher satisfaction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지현 김홍준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3권 제4호 특별호, 905~92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그들의 수업전문성과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 검증을 위하여 중등교사 387명을 대상으로 SPSS 23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두 독립표본 t검정,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업전문성, 교직만족도는 각각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업전문성, 교직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대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업전문성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수업전문성과 교직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등교사의 수업전문성과 교직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중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digital literacy competence on their teaching quality and teacher satisfaction. The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two- independent samples t test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387 middle school teachers by using the SPSS 23 statistics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school teachers' digital literacy competence, teaching quality, and teacher satisfaction. Nex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gital literacy competence, teaching quality, and teacher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 digital literacy competence and teaching quality depending on age group. Lastly, secondary school teachers' digital literacy campet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teaching quality and teacher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erived regarding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e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improve their teaching quality and teacher satisf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이론적 배경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Ⅲ.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