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하거약침액과 산삼약침액의 C2C12 근아세포에서의 AMPK/SIRT1 신호전달을 통한 근 분화 유도 및 에너지 대사 증진 효과 비교
이용수 22
- 영문명
-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Pharmacopuncture Extracts with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and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on the Differentiation of C2C12 Myoblasts into Myotubes through Regulation of the AMPK/SIRT1 Signaling Pathway
- 발행기관
- 한방비만학회
- 저자명
- 황지혜 정효원
- 간행물 정보
- 『대한한방비만학회지』제23권 제2호, 60~68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Hominis placenta (Jahage, J) and wild ginseng (SanSam, S) pharmacopuncture drugs on muscle differentiation and energy metabolism regulation in C2C12 myotubes.
Methods: The C2C12 myoblasts were differentiated into myotubes for 5 days by replacing in medium containing 2% horse serum and then treated with J and S pharmacopuncture extract at different concentrations for 24 hr. The expression of myosin heavy chain and energy metabolism-regulating factors, myosin heavy chain (MHC), nuclear respiratory factor-1 (NRF-1), and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oactivator-1 alpha (PGC-1α) were determined in C2C12 myotubes by western blot. Additionally, the phosphorylation of AMPK and the expression of mitochondrial biogenesis, including sirtuin 1 (SIRT1) were determined in the myotubes.
Results: As a result, treatment with J and S pharmacopuncture extract at 0.1 and 1 mg/mL increased the MHC expression in C2C12 myotubes compared with non-treated cells, but only S pharmacopuncture was shown a significant and distinct increase in the expression. Expression of TFAM and NRF-1 was also shown significant increases in S and J pharmacopuncture in C2C12 myotubes compared to non-treated cells. The phosphorylation of AMPK and the expression of PGC-1α and SIRT1 showed increased expression in S and J pharmacopuncture compared to non-treated cells. The effect of low-dose of J pharmacopuncture on the phosphorylated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nd PGC-1α expression was greater than that of S pharmacopuncture.
Conclusions: In conclusion, both J and S pharmacopuncture promote muscle differentiation in C2C12 myoblasts into myotubes and energy metabolism through the AMPK/SIRT1 signaling pathway. This indicates that the pharmacopuncture with tonic herbal medicines can help to improve skeletal muscle function.
영문 초록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고찰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마 뿌리 및 줄기 추출물의 포도당 흡수 개선 효과 및 기전에 대한 비교 연구
- 자하거약침액과 산삼약침액의 C2C12 근아세포에서의 AMPK/SIRT1 신호전달을 통한 근 분화 유도 및 에너지 대사 증진 효과 비교
-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염생식물 Atriplex gmelinii의 조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 과체중 또는 비만을 주소로 내원한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에 대한 가미태음조위탕의 임상적 활용: 후향적 차트 리뷰
- 고혈압을 동반하는 중고도 비만 환자의 중의학 임상연구 체계적 고찰: CNKI 검색을 중심으로
- 비만에 대한 약침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 복부비만에 활용되는 침치료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향
- 중고도 비만 치료에 있어서 체중감량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