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FEMS EIS를 위한 MLP, LSTM 및 SVR 기반 전력 소비 예측모델의 비교
이용수 13
- 영문명
- Comparison of MLP, LSTM, and SVR-based Energy Consumption Prediction Models for EIS in FEMS
- 발행기관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 저자명
- 이형아 김동주 박종혁 구재회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학술대회지』2023년 춘계학술발표회, 315~315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 (FEMS) 은 계측된 에너지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EGW(Edge computing GateWay), 데이터를 전처리 및 저장하는 DAS(Data Acquisition System), 에너지 사용을 모니터링 및 분석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개선사항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EIS(Energy Information System), 그리고 효율적 에너지 사용을 위한 설비 제어 기능 등을 제공하는 EOS(Energy Optimization System) 등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다양한 기능이 포함된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은 국내 총 에너지 소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산업 부문의 에너지 저감을 위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FEMS EIS 에의 적용을 위한 에너지 소비 예측 연구의 일환으로 대상 공장의 전력 소비 예측을 위해 대표적인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해당되는 MLP(Multi Layer Perceptron), LSTM(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 SVR(Support Vector Regression) 을 활용하였으며, SVR의 경우에는 Linear, RBF, Polynomial 커널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각 알고리즘을 적용했을 때의 예측모델의 타당성은 CvRMSE 및 결정계수 R²(R-Squared) 로서 판단하였다. CvRMSE 및 R² 결과가 ASHRAE Guideline 기준에 부합한 예측모덴에 대해서는 일 단위 (Daily) 의 예측값(Predicted value) 과 실측값(Measured value) 을 비교하여 주말을 제외한 임의의 한달치 기간에 대한 평균 오차율(Average error rate) 및 예측 정확도(Accuracy of Prediction) 를 확인하였댜 예측모델의 타당성은 MLP, LSTM, SVR 모델 순으로 높았으며 (MLP: CvRMSE 7.62%, R² 0.83, LSTM: CvRMSE 17.64%, R2 0.81, SVR—linear: CvRMSE 22.24%, R2 0.70, SVR—rbf: CvRMSE 20.52%, R² 0.75, SVR—poly: CvRMSE 22.10%, R2 0.71), MLP 및 LSTM 모델이 ASHRAE Guideline의 기준에 부합함을 확인하였댜 MLP 모델의 경우 평균 오차율 6.14%, 예측 정확도 93.86%, LSTM 모델의 경우 평균 오차율 12.17%, 예측 정확도 87.83%로, 대상 공장의 전력 소비 예측에 있어서는 MLP 모덴이 가장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남아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한 메탄회수 관련 방법론 현황 및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다회용컵 사업의 전과정 평가를 통한 온실가스 저감 효과 분석
- LSTM 기반의 식품공장 전력 소비 예측을 위한 최적 변수조합 도출
- 한국형 식품 FEMS 실증을 통한 식품공정 에너지 절감율 평가
- 에너지 다소비 공정에 적합한 에너지 사용 분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MCC (Mobile Carbon Capture) 기술 현황 및 공정 설계
- 시멘트 공정 배출 CO₂ 포집 및 메탄올 합성공정 경제성 분석
-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운용을 위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백업 스토리지 엔진 평가
- 시멘트 소성로 염소 바이패스 분진 및 수세잔류물의 특성분석
- 에너지 절감을 포함한 에너지 관리 및 정보 연계 시스템에 관한 연구
- 도금공정의 CO₂ 배출량 저감을 위한 전극-멤브레인 일체형 모듈 개발
- 폐섬유의 열적 재활용에 관한 글로벌 동향 연구
- 유기성폐기물의 바이오메탄 생산량을 활용한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검사기준 마련 연구
- 소각시설의 처리용량과 적정관리 방안-폐기물 저위발열량 중심으로-
- 소각열에너지 회수효율 산정시의 가중치 재산정
- 순환경제 완성을 위한 국립환경과학원의 역할
- 생활폐기물 직매립금지에 따른 폐기물처리시설 관리
- Plastic waste treatment trend And pyrolysis facility pilot project
- 폐기물 가스화를 통한 열화학적 재활용
- 폐기물 열적 자원화의 현안과 기술- Plastic waste-to-oil(pyrolysis), 소각시스템의 Retrofit 해석-
- 소각열에너지 회수 기준 및 산정 등 현황
- 폐자원에너지 국내·외 동향
- 순환경제 시대의 폐자원에너지 역할과 미래방향: EU와 일본 사례
- 폐자원에너지 기술동향 및 활성화 방안
- 폐기물 감량화 및 고품질 자원화 시스템 소개
- 고형연료제품 현황 및 고품질화 방안
- 유기성폐기물의 바이오가스화 기술 및 활용방안 -실증 사례 중심-
- 열분해시설의 적정 설치ㆍ운영을 위한 설치ㆍ관리 기준 및 세부검사방법
- 폐플라스틱 열분해오일 생산기술 및 나프타 대체원료 활용 방안
- 환경기초시설의 폐자원에너지(열분해유) 사용방안
- 폐자원에너지(열분해유) 수산양식 분야 적용 방안
- 폐자원(열분해)을 이용한 스마트팜 에너지 자립화
- 폐자원에너지협회 설립 추진 방안
- 폐기물처리시설의 열처리분야(소각, 소각열회수, 열분해) 검사기준 및 방법
- 폐기물 소각 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최적화: 탄소동위원소방법을 활용한 바이오매스 함량 측정
- 소각열에너지회수: 성과와 과제
- 바이오매스 발전 플랜트 CO₂ 포집 공정 경제성 분석
- 탄소중립도시 전환을 위한 미활용 자원 및 에너지 지능형 순환 시스템 기술개발 기획사업
- 유동층 반응기를 사용한 하수슬러지 가스화 특성 분석
- 버섯폐배지에서 생성된 Biochar의 가스화 열분해 특성 비교
- 폐플라스틱 열분해시설 공정에 따른 생성물 특성 연구
- 해외생산 그린수소 기반 암모니아 가치사슬의 에너지 및 기술경제성 분석
- 의료폐기물의 수분과 발열체를 적용한 에너지 소비 평가
- 해외 그린수소 도입을 위한 e-methane 생산 기술 현황
- 전류 효율 향상을 위한 멤브레인 일체형 전극 소재 개발
- 초음파식 적산열량계의 사용온도별 특성변화
- 혼합 폐플라스틱의 화학적 재활용을 위한 고정층 및 유동층 반응기에서 열분해 특성 연구
- 실증규모 경사슬라이드식 급속열분해반응기에서 커피찌꺼기 바이오원유 제조실험
- 열정산 방법에 의한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의 입출열 물질수지 산정
- 하수찌꺼기 발생량에 따른 바이오가스 생산량 예측을 위한 전수조사 및 표본조사
- 마이크로파 열분해 가스화를 통한 혐기성 소화 슬러지의 합성가스 생산
- 투입폐기물 특성에 따른 국내 회분식 열분해시설의 물질수지 산정
- CO₂ 활용 건설소재용 광물화 실증시설의 스케일업 설계
- 바이오 드라잉 공정을 적용한 바이오매스 기반 발전 플랜트 공정 모사
- FEMS EIS를 위한 MLP, LSTM 및 SVR 기반 전력 소비 예측모델의 비교
- 서울시 배달 다회용기 인프라 구축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효과
- 전산유체역학을 사용하여 시멘트 제조 시 폐플라스틱 보조 연료 사용을 위한 시멘트 킬른 연소반응 해석 연구
- 소각로 폐열을 이용한 요소수 주입 공정 개발
- SRF를 이용한 열병합 연소시스템 개발을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유형별 에너지 회수 열수지 분석 연구
- 폐플라스틱 열분해의 화학물질 안전에 관한 사례연구
- 폐플라스틱 열분해 공정에 의한 공정가스 및 배출가스의 성상 분석에 관한 연구
- 20톤/일급 왕겨 가스화 플랜트에서의 합성가스 생산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미세플라스틱의 개념과 해양에서의 발생, 이동, 생물영향 및 관리대책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COVID-19로 인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