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을 위한 정서관리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 A대학상담소 마음건강 혁신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이용수 184
- 영문명
-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Emotion Management Psycho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전국대학교학생상담센터협의회
- 저자명
- 김영아 이두류
- 간행물 정보
- 『대학생활연구』제29권 제1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위한 정서관리 심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김창대 등이 제안한 프로그랜 개발 모형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이 자신의 정서조절을 위해, 정서에 대해 바르게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15 명 이하 소규모 활동형 심리교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90-120분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총 87 명에 대한 정서에 대한 신념을 사전-사후로 비교하였다. 추가로 참여학생 및 운영강사 피드백, 프로그랜 만족도, A대학 핵심역량 도움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정서에 대한 경직된 신념이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3가지 핵심역량(의사소통능력, 정서 감수성, 사고의 유연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ffect a Emotion Management Psycho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 s.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suggested by Chang-Dai Kim. The program was composed of 90-120 minutes, and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SPSS WIN 23.0. The result s of thi 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asures for the beliefs about emotions right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Second, students reported that this training helped improve three core competencies: communication skills, emotional sensitivity, and flexibility of thinking. The result s of thi s study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목차
I . 서 론
II. 방 법
III. 결 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민대학교 진로심리개발센터 운영 사례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심리·진로 상담 모형 구축 및 운영 사례
- 동의대학교 학생상담센터 GRIT-UP 집단상담 프로그램
- 대학생을 위한 정서관리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 A대학상담소 마음건강 혁신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경인여자대학교 심리상담센터 운영 사례
- 배재대학교 통합 위기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위기학생 발굴 및 개입을 위한 게이트키퍼 활용 사례 연구: 차 의과학대 게이트키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가천대학교 학생상담센터 마음이음 또래상담자 양성 프로그램
- 부산가톨릭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운영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