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문대학 졸업자의 첫 직장 취업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81

영문명
Factors Influencing the Initial Employment Outcomes of College Graduates
발행기관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저자명
김민선
간행물 정보
『지방교육경영』제26권 제3호, 29~5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문대학 졸업자의 첫 직장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전문대학 졸업생의 취업성과를 제고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20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자료 중 전문대학 졸업자 데이터를 추출하여 활용하였고 대상자의 첫 직장 취업성과는 객관적 성과(취업 여부,임금)와 주관적 성과(일자리 만족도, 업무 만족도, 일-교육수준 일치도, 필요기술-보유기술일치도)로 구분하여 각각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취업 여부에 대해 나이, 전공계열, 직장체험프로그램, 면접·이력서작성, 취업캠프 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금에 대해 성별, 나이, 대학소재지, 전공계열,직장체험프로그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일자리 만족도에 대해 전공계열, 진로상담 및 지원제도 만족도, 전공 커리큘럼 및 내용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영향을 나타냈다. 넷째, 업무 만족도에 대해 학점, 대학소재지, 수업방식 및 질 만족도, 취업캠프 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다섯째, 일-교육수준 일치도에 대해서는 학점, 대학소재지, 전공계열, 학교전반 만족도, 직장체험프로그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영향을 나타냈고, 마지막으로 필요기술-보유기술 간 일치도에 대해서는 학점, 대학소재지,전공계열, 진로상담 및 지원제도 만족도, 학교전반 만족도, 직장체험프로그램이 통계적으로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계열 및 전공별 맞춤형진로·취업교육 로드맵 및 전략 고도화, 자발적 참여를 필요로 하는 취업준비활동의 기회및 다양화, 현장중심 교과 기반 전공 교육과정 운영 확대 및 강화 등에 관한 전문대학 차원의 노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By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outcomes of junior college graduates, this research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at a university level to enhance employment outcomes of college graduates. Accordingly, the data of junior college graduates were extracted from the 2020 Graduate Occupation Mobility Survey (GOMS) data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Both objective (i.e., employment status, salary) and subjective (i.e., job satisfaction, work satisfaction, work-education level concordance, necessary skills and retained skills concordance) employment outcome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First, age, major field, job experience programs, interviews/creating a resume, and employment camp exper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status. In terms of wages, gender, age, university location, major field, and job experience programs had a significant impact. Second, regarding job satisfaction, major field, career counseling and support system satisfaction, and major curriculum and content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Third, regarding work satisfaction, grades, university location, teaching method and quality satisfaction, and job camp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Finally, regarding work-education level concordance level, grades, major field, overall school satisfaction, and job experience programs had a statistically important effect, and regarding necessary skills-retained skills concordance level, grades, university location, major field, career counseling and support system satisfaction, overall school satisfaction, and job experience programs had a significant impact.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orts at the institution level should made to develop a career and employment education roadmap and strategies tailored for each field and major, provide diverse voluntary job preparation opportunities, and expand and strengthen major curriculum based on field-centered curriculum.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선. (2023).전문대학 졸업자의 첫 직장 취업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지방교육경영, 26 (3), 29-54

MLA

김민선. "전문대학 졸업자의 첫 직장 취업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지방교육경영, 26.3(2023): 29-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