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용산철도고등학교 부지로 본 구한말의 변화
이용수 5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저자명
- 박경우
- 간행물 정보
-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제47회, 635~64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04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Ⅱ. 발굴조사 결과
Ⅲ. 와서 및 철도관사
Ⅳ. 맺음말(부지의 변화상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스터논문] 남원지역 도시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청동기시대 움집 재현 과정 및 결과
- 시뮬레이션과 고고학: 시뮬레이션을 통한 고고학 연구의 확장
- 남강유역 주거복원을 위한 분석과 방향
- [포스터논문] 울진 죽변 토기를 통해 본 신석기시대 중부동해안의 식생활
- 고고학 현장에서의 영상기록에 관하여
- 근·현대고고학의 또 다른 무대 –경주 금척리고분군–
- 경주 쪽샘 44호분 직물 복원
- 전사자 유해발굴을 통해 본 6·25전쟁 문화유산
- 아제르바이잔 예디테페 쿠르간 3호의 조사
- 장무이묘 출토 명문전 내용의 재검토
- 한국 사철제련 유적의 발굴조사 성과
- 한국전쟁기 섬에서의 민간인 학살 –전남 진도 갈명도 유해발굴 유적을 중심으로-
- 불안한 권력과 정치적 승계, 그리고 모뉴멘트: 신라 마립간기 왕릉의 역설
- 권력 장소로서 고려 개경의 특징과 연구과제
- [포스터논문] 춘천지역 청동기시대 취락분포정형 연구
- 제주도 일제강점기 군사시설에 대한 연구와 방향
- 중앙 유라시아 쿠르간의 황금장식
- 가야의 성곽과 왕권
- 발해의 도성과 왕권
- [포스터논문] A “RICH” BARROW GRAVE OF THE ROMAN PERIOD NEAR THE VILLAGE OF DEVETAK, KARNOBAT REGION, BULGARIA
- [포스터논문] 낙동강 중류역 초기청자 요지의 현황과 그 의미
- [포스터논문] 3D 스캔자료를 이용한 고고자료의 디지털 탁본제작과 활용
- [포스터논문] Web GIS 서비스의 국가유산 현장조사 분야 활용 - “현장조사Map” 개발 연구 -
- 고고학과 기계 학습: 강화학습을 통한 고고학 시뮬레이션의 발전 가능성
- 취락 패치 선택(Settlement Patch Choice) 모델: 행위자기반모델링을 통한 선사시대 채집민의 취락과 이동성에 대한 추론
-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선사시대 장기적 인구 변동 경향 검토
- 행위자기반모델링을 통한 한국 원사시대 토기 제작 기술 확산의 이해
- 계산 기하학 프로그램을 통한 경주지역 신라 고배의 변형률 연구
- 문화유산 3D 디지털 기록화의 원리와 현황
- 고고자료의 디지털 기록 -유물도면의 과거·현재·미래-
- 근대 일본의 기호음료 생산 과정 및 유통에 대한 추적 - 사이다와 맥주를 중심으로 -
- 불편문화유산으로서 세종시 일제잔재의 존재양상
- 용산철도고등학교 부지로 본 구한말의 변화
- 도장(盜葬) 및 암장(暗葬)의 고고학적 검토
- 日本たたら製鉄の操業および特色
- 북방지역 상형로의 출현과 확산
- 사철과 제련슬래그의 성분 함량 비교를 통한 상관관계 연구
- 금속학적 분석으로 본 한국 사철 제련기술의 특징
- 동아시아에서 바라본 장무이묘
- 장무이묘 이전 서북한 지역의 문자 - 낙랑・대방군 지역 출토 기년명전을 중심으로 -
- 장무이묘 명문전의 고고학적 검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장무이묘의 발견과 조사
- 송국리형주거지의 구조 검토
- 유적공원 주거지 복원 사례와 문제점
- 선사시대 도구의 제작 공정
- LH 토지주택박물관의 선사시대 기술 접근
- A preliminary report of th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at “Yedditepe-Fizuli”, kurgan number 3.
- 아제르바이잔 디자흘르(Dizahli) 쿠르간(kurgan) 발굴 조사 성과
- Новые открытия в тувинской «долине царей» на погребально-поминальном комплексе Чинге-Тей I
- The Scythian kurgan group Novozavedennoye-III in the context of burial traditions of the Scythian archaeological culture
- 유라시아 쿠르간과 한국 고대 고분의 상장의례 비교
- 중앙 유라시아 지역 쿠르간의 확산과 물질문화의 교류
- 경주 쪽샘 44호분 출토 유기물 분석
- 고대 장니 연구
- 경주 쪽샘 44호분 출토 마구류 분석
- 경주 쪽샘 44호분 출토 유물
- 경주 쪽샘 44호분 구조와 축조공정
- 조선 후기 종묘 의례의 특징과 위상
- 古墳에서 寺院으로: 三國의 佛敎 受容과 寺院 造營
- 공간과 왕권을 통해 본 한국 고대 국가제사
- 고대 중국의 제사와 권력-暴壓에서 禮制로
- 선·원사시대의 의례 공간과 권력
- 조선왕릉과 권력 – 국왕의 정통성과 심미안(審美眼)이 왕릉 석물에 미친 영향
- 발해의 고분과 권력
- 통일신라 왕릉의 공간과 권력
- 백제 왕릉의 공간조직과 왕권
- 한양도성과 권력 운영의 공간
- 신라 중고기 王都의 발전과 왕권
- 고구려 도성·왕궁의 공간구조와 왕권의 위상
- 진변한의 권력과 공간
- 권력의 형성과 공간성에 대한 이론적 접근
- 의례, 종교 공간과 권력
- 권력 공간으로서 성곽의 출현
- 고고학으로 본 권력과 공간
- 석기 연구에서 3D 실측 도면 활용
- 발굴유물 도면작성에 있어서 3D 스캔 활용 -부여 송국리유적 출토유물 중심으로-
- [포스터논문] 32년 만에 다시 시작된 발굴, 서울 호암산성
- [포스터논문] 3D VR영상을 통해 본 고고학 자료의 이해
- 古代 中世의 東亞細亞 王陵과 權力
- 도성과 권력
- 통일신라의 도성 정비와 그 양상
- 마한 사회의 권력과 공간
- 청동기・초기철기 사회의 권력과 공간
- 경주 쪽샘 44호분 발굴조사 개요와 성과
- 고려 왕릉과 권력
- 국내성 시기 왕릉 조영지의 변화와 그 정치적 배경
- 가야의 고분과 권력
- 경주 쪽샘 44호분 토목공학적 분석
- 경주 쪽샘 44호분 축조재료의 지질학적 연구
- 경주 쪽샘 44호분 장니 죽제편조물 및 칠기 제작기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