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범대 및 비사범대 전문교과 교육과의 교과교육 교수와 담당과목 분석

이용수 43

영문명
Analysis of Subject Education Professors and Subjects in the Department of Specialized Subject Education in Colleges of Education and Non-Education Colleges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송진주 Jiao Jian 나승일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42권 제5호, 27~4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등 직업교육을 통해서 산업 및 기술의 발달에 따라 필요한 핵심 기능 및 기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직업교육에 필요한 양질의 교육과정을 전문교과 담당 교사가 구성하고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는 교과교육 전문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전문교과 중등 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 및 비사범대의 전문교과 교육과들(이하 전문교과 교육과, 총 9개 학과)의 교과교육 전공 교수와 담당 과목 실태를 분석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연구 결과 첫째, 전국 사범대 및 비사범대 전문교과 교육과의 교과내용학 전공 교수와 교과교육학 전공 교수의 비율은 7:3이었다. 학과별 교과교육 전공 교수는 대다수 학과에서 1명에 그치거나 아예 전무한 경우도 있어 부족한 편인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예비 전문교과 교사가 이수해야 하는 전공 교육과정에 편성된 교과내용학 과목의 비율은 최소 80%에서 최고 91%인 반면, 교과교육학 과목의 비율은 최소 9%에서 최고 20%로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셋째, 각 학과에서 운영 중인 교과교육학 과목들은 교원자격검정령 기준에 따라 최소 이수 기준 3과목(8학점 이상)에 맞게 교과교육 과목으로 지정 및 학점 인정이 되고 있었다. 이 과목들은 교과교육 전공 교수들이 강의하며 최소 이수 기준을 초과하는 과목은 교과내용학 학점으로 인정하는 학과도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등 직업교육을 담당하는 우수한 전문교과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사양성과정 내에서 교과교육을 전공한 교수들에 의해 지도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보다 다양한 교과교육 과목들이 추가될 필요가 있고, 동시에 교과교육 이수학점 기준을 상향하거나 기준을 초과한 교과교육 이수학점은 전공학점으로 인정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ubject education professors and subjects in specialized subject education departments (9) at colleges of education and non-education colleges that train secondary school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The ratio of professors who majored in subject matter to professors who majored in subject education was 7:3 in the departments. Most departments had at least one professor who majored in subject education, but 2 departments did not have a single professor of subject education. In the curriculum completed by prospective teachers, the proportion of subjects related to subject matter ranged from a minimum of 80% to a maximum of 91%, and the proportion of subjects related to subject education was relatively low, ranging from a minimum of 9% to a maximum of 20%. In addition, the subjects were designated as subject education credits according to the minimum standard of 3 subjects (8 credits or more) based on the teacher qualification examination standards and taught by a professor who majored in subject education. The remainder is recognized as subject matter credits. These results show that in order to cultivate excellent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in charge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the departments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professors who majored in subject education. Also, the subjects related to subject education need to be more diverse and taught by them through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raise the standard for subject education credits or to establish clearer guidelines in which subject education credits exceeding the standard are recognized as major credi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진주,Jiao Jian,나승일. (2023).사범대 및 비사범대 전문교과 교육과의 교과교육 교수와 담당과목 분석. 직업교육연구, 42 (5), 27-47

MLA

송진주,Jiao Jian,나승일. "사범대 및 비사범대 전문교과 교육과의 교과교육 교수와 담당과목 분석." 직업교육연구, 42.5(2023): 27-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