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드뷔시의「달빛」을 통한 대학생의 미적 음악 경험 분석

이용수 60

영문명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Aesthetic Musical Experiences through Debussy’s 「Clair de Lune」
발행기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저자명
배수영
간행물 정보
『음악교육공학』제57호, 227~24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16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Schubert, North, & Hargreaves(2016)가 제시한 ‘정서-차원 체계(ASF)’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이 드뷔시의 「달빛」을 감상하면서 느끼는 감정 및 정서 반응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그들의 미적 음악 경험을 깊이 있게 조사하였다. 총 12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해당 악곡을 감상하게 하고 이에 대한 감정과 정서 반응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학생들은 드뷔시의 「달빛」감상 시 정서조보다 감정조의 응답이 많았으며, 특히 내부적 원천 기반의 감정조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체 참여자의 응답 중 8.29%만이 미적 정서에 해당하는 응답이었다. 이는 대부분 학생이 드뷔시 「달빛」 감상에서 미적 경험을 하지 못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성별에 따라 외부적 원천 기반의 정서조 응답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넷째, 미적 경험 유무에 따라 미적 경험을 한 집단은 음악이 표현하는 정서나 내용에 더 집중을 기울이는 반면, 미적 경험을 하지 않은 집단은 자신의 내부적 정서에 더 집중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Schubert, North, & Hargreaves(2016)가 제시한 ‘정서-차원 체계(ASF)’는 대학생들의 드뷔시의 「달빛」감상 시의 감정 및 정서 반응 분석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ASF를 통해 학생들의 미적 음악 경험, 특히 감정과 정서의 깊은 차원을 탐색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음악 교육과 심리학 연구의 새로운 지향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based on the ‘Affect-Space Framework (ASF)’ proposed by Schubert, North, & Hargreaves (2016) to analyze the emotional and affective responses of college students while listening to Debussy’s 「Clair de Lune」 and to deeply explore their aesthetic musical experiences. A total of 125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listen to the piece, and a survey was conducted regarding their emotional and affective reac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had more emotional responses than affective ones when listening to music, with responses based on an internal locus of emotion being the most prominent. Second, only 8.29% of the total responses corresponded to aesthetic emotions. This can be interpreted as most students not having an aesthetic experience while listening to Debussy’s 「Clair de Lun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ffective responses based on an external locus depending on gender. Fourth, groups who had an aesthetic experience tended to focus more on the content expressed by the music, while groups without an aesthetic experience focused more on their internal emotions. In conclusion, the ‘Affect-Space Framework (ASF)’ was highly effective in analyzing the emotional and affective reactions of college students during their listening to Debussy’s 「Clair de Lune」. Through ASF, the researcher was able to explore the deep dimensions of students’ aesthetic musical experiences, especially emotions and affections, and this provided a new direction for music education and psychological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수영. (2023).드뷔시의「달빛」을 통한 대학생의 미적 음악 경험 분석. 음악교육공학, (), 227-244

MLA

배수영. "드뷔시의「달빛」을 통한 대학생의 미적 음악 경험 분석." 음악교육공학, (2023): 227-2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