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기 정서적 피학대 경험과 젠더 감수성의 관계에서 성인 애착의 매개효과

이용수 61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Adult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in Childhood and Gender Sensitivity
발행기관
한국심리치료학회
저자명
박희정 박재우
간행물 정보
『한국심리치료학회지』제15권 제2호, 43~6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15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 정서적 피학대 경험과 젠더 감수성, 성인애착의 관계를 확인하고, 아동기 정서적 피학대 경험과 젠더 감수성의 관계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0~39세의 성인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가 정규분포를 따르는지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측정도구의 내부 일치도(Cronbach's a)를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조모형의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변수 간의 모형 적합도와 인과구조를 확인하였고, 팬텀변수를 이용하여 각 매개변수의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다집단 확증요인분석과 다집단 경로분석을 통해 남녀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아동기 정서적 피학대 경험과 젠더 감수성은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둘째, 아동기 정서적 피학대 경험은 성인애착불안과 성인애착회피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성인애착불안과 성인애착회피는 각각 양의 상관관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아동기의 정서적 피학대 경험과 젠더 감수성의 관계에서 성인애착불안과 성인애착회피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기의 정서적 피학대경험, 성인애착 및 젠더 감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아동기의 정서적 피학대 경험이 젠더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성인의 애착불안은 젠더 감수성을 감소시켰고 성인의 애착회피는 젠더 감수성을 높이는 매개변수임을 입증하였다. 이를 통해 젠더 감수성 관련 문제를 호소하는 내담자를 상담할 때 내담자의 아동기 정서적 피학대 경험과 성인 애착유형을 탐색하는 것이 도움이 됨을 증명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gender sensitivity, and adult attachment,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dult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s and gender sensitivity. Therefore,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he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ender sensitivity, and that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of adult attachment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gender sensitivit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To verify this, a total of 300 adults aged 20 to 39, 150 males and 150 females, were surveye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data,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nsure that the collected data followed a normal distribution. In addition,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internal agreement (Cronbach’s a) of the measurement tool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Finally, to verify the structural model,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confirm the model fit and the causal structure between variables, and the indirect effect of each parameter was confirmed using a phantom variable. In addition,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group path analysis were verified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gender sensitivit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was not significant. Second, experiences of emotional abuse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adult attachment avoidance. Third,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adult attachment avoidance were positively and negatively correlated, respectively. Fourth, it was found that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adult attachment avoidance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gender sensitivit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dult attachment and gender sensitivity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did not affect gender sensitivity, and it was proved that adult attachment anxiety decreased gender sensitivity and adult attachment avoidance was a mediator that increased gender sensitivity.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o prove that it is helpful to explore the client's child/adolescent abuse experiences and adult attachment types when counseling clients complaining of gender issues.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희정,박재우. (2023).아동기 정서적 피학대 경험과 젠더 감수성의 관계에서 성인 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5 (2), 43-68

MLA

박희정,박재우. "아동기 정서적 피학대 경험과 젠더 감수성의 관계에서 성인 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5.2(2023): 43-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