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 염처수행에서 `안` (ajjhatta)과 `밖` (bahiddha)의 의미와 상담자의 태도 > - 염처수행의 상담적 적용을 위한 시론 (試論): 상담자상과 관련하여

이용수 2

영문명
Meaning of `Inside` and `Outside` in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Satipatthana) and Attitude of Counselor
발행기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저자명
이성권(Lee Song Kwon)
간행물 정보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16권, 19~3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troduction: In the Early Buddhism sutra, `inside` and `outside` have been referred to as the important concept in `Satipatthana`. But there has been a variety of controversies in that the meaning and practice. This manuscript reviewed the meanings of the `inside` and `outside` discussed by diverse existing disputants. And this script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s and the attitude of practitioner and counselor. Body : The `inside` and `outside` appear diversely in Satipatthana. Many other standings such as Buddhism,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respectively interpret the meanings differently. The meaning of the `inside` and `outside` appears as a gradational and extensional structure in sutra. This is suggested the direct way of Nirvana. It is the same as the purpose of counseling. The Janavasabhasutta and Sampasadaniyasutta can prove that we get right `absorption` internally and `insight` externally. This is an attitude what counselor has to possess. Conclusion : This script dealed with how to use `Satipatthana` in counseling or psychotherapy. By observing the `inside` and `outside`, counselor can get right `absorption` and insight. As a result, the counselor can communicate with the client well. Counselors can apply the meditation to counseling and applicate it more positively.

목차

I. 문제 제기
II. 기존 논의에 나타난 ‘안’과 ‘밖’의 의미와 재검토
III. 염처 수행과 상담의 지향점
IV. ‘안’과 ‘밖’의 염처 수행과 상담자의 태도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권(Lee Song Kwon). (2016).< 염처수행에서 `안` (ajjhatta)과 `밖` (bahiddha)의 의미와 상담자의 태도 > - 염처수행의 상담적 적용을 위한 시론 (試論): 상담자상과 관련하여.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 19-33

MLA

이성권(Lee Song Kwon). "< 염처수행에서 `안` (ajjhatta)과 `밖` (bahiddha)의 의미와 상담자의 태도 > - 염처수행의 상담적 적용을 위한 시론 (試論): 상담자상과 관련하여."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2016): 19-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