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문화산업의 전후방산업 연관성에 관한 연구―2017년, 2020년 중국산업연관표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108

영문명
A Study on the Backward and Forward Industrial Linkages of China's Cultural Industries
발행기관
한국중국문화학회
저자명
김형근 최정석
간행물 정보
『중국학논총』제79호, 217~23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의 문화산업은 세계 경제 변화와 발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산업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과정 중에 있다. 특히 중국 경제의 성장 방식이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전환되면서 문화산업의 육성이 국가정책 수립에서 중요한 전략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중국인들은 문화산업이 서구 선진국가와 비교하여 소프트파워 측면에서 낙후되었다고 여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중국 문화산업은 최근 몇 년간 꾸준한 성장을 이루어냈다. 2021년까지 전국에는 규모가 6.5만 개 이상의 문화 관련기업이 총 매출액으로 11조 9064억 위안을 달성하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20.86% 증가한 최고 성장률을 기록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문화산업의 산업적 가치는 GDP의 5%에 불과하여 성장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평가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문화산업이 당장 중국 경제 발전을 주요 지원 산업으로 대체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경제발전은 여전히 전통적인 제조업 중심의 산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문화산업의 양적, 질적 성장을 동시에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관련 업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평가된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중국 문화산업이 다른 산업들과 상호작용하고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산업간 시너지를 창출하고 산업 발전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2017년과 2020년의 투입산출표를 활용하여 비교분석하였으며, 중국 문화산업이 기존의 정부주도 방식에서 민간산업 주도로 체질이 개선되는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로 2017년에는 의류, 피혁 등 기타제조업, 숙박 및 요식업, 공공관리 및 사회조직 부문에 문화산업이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끼쳤다면, 2020년에는 방직업, 농림목어업, 의류, 피혁 등 기타제조업의 순서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전방산업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중국 문화산업은 주로 화학공업과 금융업 등과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2020년에는 금융업에 기반한 부동산업의 연관성이 더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문화산업이 성장함에 있어 금융활동의 역할이 강조되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Chinese government support to the cultural industry has grown steadily in recent years, with more than 65,000 culture-related enterprises nationwide and a total turnover of RMB 11.9064 trillion. However, the cultural industry's share of GDP remains stagnant at 5% and is expected to be difficult to replace in China's economic development. China's economy is still dependent on traditional manufacturing, an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f the cultural industry requires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industry. The input-output analysis of this study shows that China's cultural industry interacts and produces synergistic effects with other industries. Among them, the cultural industry has a high correlation with the financial and real estate industries, highlighting the role of financial activities. In the future, China's cultural industry is expected to develop further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and this development is expected to help China's economic growth and enhance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cultural industr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분석
Ⅲ. 중국 문화산업의 정의 및 규모
1) 중국 문화산업의 정의
2) 중국 문화산업의 규모
Ⅳ. 연구방법
1) 전후방산업 연관성
2) 영향력계수 및 감응도계수
Ⅴ. 실증분석
1) 전방연관효과 분석
2) 후방연관효과 분석
3) 중국 문화산업의 전후방산업연관분석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형근,최정석. (2023).중국 문화산업의 전후방산업 연관성에 관한 연구―2017년, 2020년 중국산업연관표 비교를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 217-235

MLA

김형근,최정석. "중국 문화산업의 전후방산업 연관성에 관한 연구―2017년, 2020년 중국산업연관표 비교를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2023): 217-2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