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방암 생존자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지역사회 참여와의 관계

이용수 2

영문명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Participation in Breast Cancer Survivors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김혜미 박경아 박진주 오명화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7권 제4호, 69~8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유방암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및 지역사회참여 정도를 알아보고 작업치료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H군에 위치한 병원에 외래로 방문하는 유방암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형 설문 지를 배부하였고, 유방암 환자의 자가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Self-Efficacy Scale for Self-Management of Breast Cancer; SESSM-B), 사회적 지지(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그리고 한국판 지역사회 참여 지표(Korean-Community Participation Indicator; K-CPI)를 측정하였다. 결과 : 자기효능감은 3.70±.38점, 사회적 지지는 3.49±.66점이었다. 지역사회 참여 정도는 주관적 특성 을 반영한 참여권 문항은 3.27±.65점이었다. 객관적 특성을 반영한 20개 활동들에 대하여 참여 빈도와 중요성을 알아본 결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활동은 가족과 시간을 보내기, 요리나 집안일을 하기 그 리고 취미나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낮은 참여 빈도를 보였다. 각 변수간의 상관성을 알 아본 결과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감(p<.01)와 지역사회 참여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1). 결론 : 유방암 환자의 사회적 역할, 관계 등을 고려한 작업치료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participation in Korean breast cancer survivo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40 women with breast cancer in an outpatient setting at a hospital in H city, Korea. The instruments included self-efficacy checked using SESSM-B, social support checked based on MSPSS, and community social participation using K-CPI.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percentage, and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rough SPSS WIN 18.0 for Windows. Results: The mean score for self-efficacy was 3.70±.38, social support was 3.49±.66, and community participation was 3.27±.65, out of a total possible score of 5. In the results on the frequency of engagement in activities and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who view activities as important, most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spending time with family, cooking and housework, and engaging in hobbies or leisure activities are important activities. However, their frequency of such activities was low. Social suppor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p < .01) and community participation (p < .001). Conclusion: Implications for those working in survivorship care include the need to consider addressing their associated social roles, relationships, and responsibilities when designing strategie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breast cancer survivors.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howev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미,박경아,박진주,오명화. (2019).유방암 생존자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지역사회 참여와의 관계.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7 (4), 69-82

MLA

김혜미,박경아,박진주,오명화. "유방암 생존자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지역사회 참여와의 관계."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7.4(2019): 69-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