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의 뇌졸중 이환 유무에 따른 HRQOL 요인 간 구조관계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actor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or Without a Stroke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김석범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3권 제3호, 53~6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이환 유무에 따른 노인들의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관계를 분석하여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있다. 연구방법 : HRQO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 2011)’의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2,293명을 대상으로 2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그룹 간 HRQOL은 차이가 있었으며(p<.05),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실험군2, 실험군1 순으로 HRQOL 이 유의하게 높았다(p<.05). 실험군1의 경우 HRQOL에 대한 총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신적 건강상태(β =.425), 주관적 건강상태(β=.391), 의학적 건강상태(β=.290)가, 실험군2의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β =.367), 의학적 건강상태(β=.272), 정신적 건강상태(β=.249), 기능적 건강상태(β=.234)가, 대조군의경우 주관적 건강상태(β=.398), 정신적 건강상태(β=.184)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주는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결론적으로 65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HRQOL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뇌졸중 이환유무에 따라 다른 접근법을 통해 치료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65세 이상의 뇌졸중 환자의 경우 신체적장애의 회복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강의 증진을 높일 수 있는 치료 프로토콜의 개발이 이루어져 환자들에게 동시에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뇌졸중 이환 유무와 상관없이 주관적 건강상태를 향상시키는 것이HRQOL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actors that have an impa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three groups: A stroke patient group (Exp 1), high-risk stroke patient group (Exp 2), and a normal control group. Methods : For this survey, we conducted a secondary analysis using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1)’, and investigated 2,293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in age.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HRQOL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control>Exp2>Exp1) (p<.05). In the total effect of the experimental 1 groups, their HRQOL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ir mental health (β=.425), self-rated health (β=.391), and medical health (β=.290)(p<.05). In the total effect of the experimental 2 group, their HRQOL was significantly by their self-rated health (β=.425), medical health (β =.272), mental health (β=.249), and functional health (β=.234) (p<.05). In the total effect of the control group, their HRQOL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ir self-rated health (β=.398) and mental health (β=.184)(p<.05). Conclusion :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wo matters to improve the HRQOL in people with or without a stroke. First, to improve the HRQOL in people suffering from senility, a different approach is needed according to whether the person has had or not had a stoke. Particularly in stroke patients, we should treat both their physical disability and mental health. Second, regardless of whether they have had a stroke, their HRQOL is influenced strongly by their self-rated level of health, and therefore an improvement of HRQOL will be induced by promoting positive health behavi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석범. (2015).노인의 뇌졸중 이환 유무에 따른 HRQOL 요인 간 구조관계 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3 (3), 53-66

MLA

김석범. "노인의 뇌졸중 이환 유무에 따른 HRQOL 요인 간 구조관계 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3.3(2015): 53-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