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하기능 검사의 흡인에 대한 예측타당도

이용수 0

영문명
Predictive Validity of Aspiration Based on a Swallowing Function Test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홍덕기 이재신 유두한 최성열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2권 제3호, 25~3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기도흡인을 예측할 수 있는 연하기능 검사의타 당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연하기능 검사, 비디오투시검사, 침습-흡인 척도,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를 통해 흡인에 대한 연하기능 검사의 분류기준점(cut-off score)에 따른 Area Underthe Curve (AUC), 민감도, 특이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하기능 검사를 통해 흡인에 대한 양성과 음성예측도를 분석하였고, 연하기능 검사의 항목별 AUC를 분석하였다. 또한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연하기능검사와 미 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 및 침습-흡인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연하기능 검사를 통한 흡인의 AUC는 .94로 판별력이 우수하게 나타났고, 흡인에 대한 연하기능검사의 분류기준점은 36점으로 이에 따른 민감도는 94.3%, 특이도는 90.9%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연하기능 검사의 흡인에 대한 음성예측도는 96.2%, 양성예측도는 86.8%로 분석되었고, 연하기능 검사에서흡인을 가장 잘 예측 할 수 있는 항목으로는 수의적 기침, 후두거상, 삼킴 전/동안/후 기침, 목소리 변화,목 가다듬기 항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하기능 검사는 임상 연하척도인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및 침습-흡인 척도와 유의한 상 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연하기능 검사는 뇌졸중 환자의 연하장애를 선별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연하재활에서 연하기능 검사의 적용을 통해 흡인의 예측과 임상적 중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aspiration capability in strokepatients with dysphagia based on a Swallowing Function Test (SFT).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90 stroke patients with problems of dysphagia. The data collectedusing Videofluoroscopy Swallowing Studies (VFSS), Swallowing Function Test (SFT), Penetration -AspirationScale (PAS), and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 Measurement System(ASHA NOMS) for the 90 stroke patients were analyzed based on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ROCcurve) to determine the cutoff score of the aspiration Area Under the Curve (AUC), and the sensitivity andspecificity of the SFT. In addition, the data were analysed based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fora prediction of the aspiration capability. The items used for the validity of the SFT were analyzed based on theAUC value. In addition, The SFT was analyzed using 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ith ASHA NOMS andPAS. Results : The cutoff score of the SFT was 36 points, and that of the AUC was .94. In addition, the sensitivity andspecificity of the SFT were 94.3% and 90.9%, respectively. The five best items of the SFT for predicting theaspiration capability were ‘voluntary cough,’ ‘laryngeal elevation,’ ‘swallowing before/during/after coughing,’ ‘voicechanges,’ and ‘the appearance of throat clearing.’ In addition, ASHA NOMS and PA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using the SFT. Conclusion : The SFT for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has been proven to be a useful test. It is expected thatthe SFT will be used as a predictive tool of aspiration capability and will offer intervention guidelines fordysphagia rehabilitation.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덕기,이재신,유두한,최성열. (2014).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하기능 검사의 흡인에 대한 예측타당도.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2 (3), 25-36

MLA

홍덕기,이재신,유두한,최성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하기능 검사의 흡인에 대한 예측타당도."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2.3(2014): 25-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