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지원센터와 학교에 기반을 둔 학교작업치료 실태조사

이용수 9

영문명
A Survey on the Status of Supporting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and School based Occupational Therapy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김세연 김지연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8권 제3호, 53~6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9.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교육기반 학교작업치료사의 업무, 작업치료 대상자, 작업치료의 목표와 사용되는 이론의 틀, 전문가로써 자신의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어떠한 개발활동을 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국내 학교작업치료의 전반적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교육기반 학교작업치료의 나아갈 바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2010년 1월 4일부터 2010년 3월 10일까지 전국에 있는 특수교육지원센터와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와 작업치료를 전공한 치료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발송하고, 회수한 총 5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자는 특수교육지원센터, 서울∙경기에 가장 많이 종사하며, 특수학급교실에서 가장 빈번히 작업치료를수행하는 것으로조사되었다.‘ 학생의 특정 운동또는 감각기술’에 초점을두는 치료목표를 설정하는경우가 많았으며, 개별화교육계획 회의에는‘1학기에 1회’,‘ 참석하지 않음’으로 대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연구 대상자의 96.0%가 이론의 틀을 사용하였으며, 그 중 감각통합 이론의 틀을 적용하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그 이유로‘대상아동에게 적합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전문성 확보를 위한 개발활동은 저널 또는 전공서적 읽기가 가장 많았으며, 개인경비와 개인휴가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특수교육지원센터 및 학교에 기반을 둔 최선의 작업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개선방안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며 학교기반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정기적인 교육 및 세미나, 학교 기반 작업치료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on the status of supporting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and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to present a way to progress. Methods : Study data were provided by 50 therapy supporting service professionals who is working in school and supporting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through mail, e-mail from January 4th to March 10th in 2010. Results : The most of service professional was working at supporting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in Seoul and Gyeounggi; most frequently served elementary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delivered services most often in special class. Practitioners spent most of their work week providing direct services and most frequently participated in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meeting once a semester or not participated. Goals were targeted students' sensory or motor impairments. 96% of the respondents reported using a frame of reference; sensory integration theory were used most often; suited the population of children was reason for using frame of refer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nd resource was reported by practitioners was journal/books, personal money and unpaid release time most frequently. Conclusion : Policy support and improvements are necessary for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 to best practice. It is also need a regular education, seminar and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related study to consolidate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role and professionalis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세연,김지연. (2010).특수교육지원센터와 학교에 기반을 둔 학교작업치료 실태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8 (3), 53-67

MLA

김세연,김지연. "특수교육지원센터와 학교에 기반을 둔 학교작업치료 실태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8.3(2010): 53-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