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령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이야기 쓰기에 나타난 서사담화 요소 사용 양상

이용수 26

영문명
The use aspects of narrative discourse elements in story writing of school-ag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배희숙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10권 제1호, 49~7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령기 다문화 가정 아동 및 비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토끼와 거북이> 이야기 쓰기 검사를 실시하고, 이에 나타나는 서사담화 요소의 발달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검사에 참여한 30명의 다문화 가정 아동과 30명의 비다문화 가정아동 중 표현어휘력에서 -1 SD 미만에 해당하는 아동을 제외하고 21명의 다문화 가정 아동과 30명의 비다문화 가정 아동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서사담화 요소 분석을 위해서는 여섯가지 이야기 문법 요소(배경, 발단, 사건, 시도, 결과, 결말)와 담화 길이(T-unit, NTW), 어휘 다양도(NDW), 결속표지(연결어미, 보조사, 접속어)를 분석하였다. 두 집단 유형(다문화 아동, 비다문화 아동) 및 학년(1, 2, 3학년)에 대한 변인별 평균 빈도를 비교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집단 유형과 학년의 상호작용 효과는 어느 변인에서도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집단 유형의 주효과가 이야기 문법 요소 중 <배경>과 결속표지 요소 중 연결어미에서 나타났다. 학년의 주효과는 이야기 문법 요소 중 <발단>과 <결과>에서, 담화 길이(T-unit, NTW), 어휘 다양도(NDW)의 모든 변인에서, 그리고 결속표지의 모든 변인에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에서, 담화 길이나 어휘 다양도는 <결말>을 제외한 모든 변인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저학년 다문화 가정 아동의 담화 능력이 주로 이야기 문법과 결속표지의 일부 요소에서 비다문화 아동과 차이를 보였음을 의미하며, 이는 저학년 다문화 아동의 언어 평가 및 교육에서 이러한 서사담화 요소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e of narrative discourse elements embedded in a story The Tortoise and the Hare written by school-ag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ourse samples have collected based on a writing test taken by 30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30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The data of 21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30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were analyzed, excluding children whose expressive lexical ability is below -1 SD i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Two groups were compared firstly in terms of story grammar elements (setting, initiating, event, attempt, direct consequence, and reaction), secondly discourse length (T-units, NTW) and lexical diversity (NDW), and thirdly cohesive markers such as conjunctive endings, specific semantic particles, and conjunctive words. As a result, for story grammar, group types’ main effects were verified only in setting, and grade’s main effects in initiating and direct consequence. As for discourse length and lexical diversity, the group types’ main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in any variable, but grade’s main effects were significant in all of variables. In terms of cohesive markers, type’s main effects were verified only in conjunctive ending, and grade’s main effects were in all of cohesive marke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group used less of setting and conjunctive ending comparing with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group. These findings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tory grammar elements and cohesive markers for evaluating and improving discourse skills of school-ag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희숙. (2017).학령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이야기 쓰기에 나타난 서사담화 요소 사용 양상. 다문화교육연구, 10 (1), 49-75

MLA

배희숙. "학령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이야기 쓰기에 나타난 서사담화 요소 사용 양상." 다문화교육연구, 10.1(2017): 49-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