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혁신중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 학습조직 구축 정도 분석

이용수 35

영문명
Analysis of the degree of the establishment of a learning organization in innovative middle school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발행기관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저자명
임의수 김훈호
간행물 정보
『지방교육경영』제26권 제1호, 23~4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충남지역 내 중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 학습조직 구축 정도를 분석하여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문적 학습공동체와 Senge의 학습조직 이론이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정리한 후 기존 선행 연구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학습조직 구축 정도를 묻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충남 지역 내 중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 학습조직 구축 정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를 기초 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분석을 통해 혁신중학교 학습조직 구축 정도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간 전문적 학습공동체 학습조직 구축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혁신학교는 5점 척도 기준으로 평균 4.31로 나타났고 일반학교는 평균 3.84로 나타났다.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간 차이는 유의수준 0.001 기준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학습조직화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팀 학습과 시스템 사고 측면에서 일반학교에 비해 강점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목할 점은 혁신학교에서 중점적으로 이루어지는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다양한 활동이 다른 일반학교에도 적극적으로 전파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기존의 연구들이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효과에 대해서 논의했다면 이번 연구는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학습조직 이론이라는 틀 안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parity in the degree of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learning organization between innovative schools and general schools in Chungnam.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s,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innovative schools based on prior research and summar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Senge's learning organization theory. We also developed a questionnaire asking the degree of establishment of a learning organization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drawing from prior research and expert advice.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middle school teachers in Chungnam and analyzed using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main finding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learning organization between innovative schools and general schools. Innovative schools scored an average of 4.31 points out of 5, while general schools scored an average of 3.84 points. The difference between innovative schools and general school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01.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novative schools have relatively mor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an general schools, especially in terms of team learning and system think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o actively disseminate the various activitie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entered on innovative schools to other general schools. While existing studies have discussed the effectivenes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is study adds value by analyz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detail within the framework of learning organizational theory. Further research are needed on the degree of establishment of a learning organization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r the 1st to 8th graders of innovative school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의수, 김훈호. (2023).혁신중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 학습조직 구축 정도 분석. 지방교육경영, 26 (1), 23-46

MLA

임의수, 김훈호. "혁신중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 학습조직 구축 정도 분석." 지방교육경영, 26.1(2023): 23-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