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태전환교육 도입을 위한 가정과 교과서의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

이용수 219

영문명
Analysis of Eco-Citizenship Contents Elements in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the Introduction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성미 박미정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5권 제2호,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생태전환교육 도입을 위해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에서 활용하고 있는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의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현직 중학교 가정 교사 6인에게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분석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S-CVI 값이 0.97로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의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가정과 교과서에서 추출한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242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영역에 따른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는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 가장 많았고, ‘자원 관리와 자립’ 영역,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태시민성 요소의 범주에 따라서는 가치⋅태도, 과정⋅기능, 지식⋅이해 범주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과서 구성 체계별로는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가 그림, 본문, 활동, 보충 자료의 순으로 추출되었고, 출판사에 따라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의 수가 차이가 크게 나타나 교과서 집필진의 인식이나 해석, 집필 방향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교과의 생태전환 교육 도입을 위한 생태시민성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생태전환교육이라는 교육과정의 새로운 지향점에 부합하는 생태시민성 교육을 가정교과에서 실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밝히는 동시에 가정교과에서의 생태시민성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and analyze ecological citizenship elements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used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for the introduction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n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tent analysis of the ecological citizenship factor was validated by six experts who are incumbent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he S-CVI value was 0.97, ensuring the validity of the ecological citizenship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zing 242 ecological citizenship factors extracted from home economics textbook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ontent area of the 2015 n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area had the highest presence of ecological citizenship factors followed by the ‘resource management and self-reliance’ area and the ‘home life and safety’ area. Among the categories of ecological citizenship factors, ‘value⋅attitude’ was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process⋅function’ and ‘knowledge⋅understanding’. For each textbook composition system, ecological citizenship elements were extracted in the order of pictures, text, activities, and supplementary materials. There was a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number of ecological citizenship factors among publishers,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the textbook writers' perception, interpretation, and direction of writing.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ecological citizenship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pplicable to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presented.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practicing ecological citizenship education in line with the new orientation of the curriculum o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through home economics education. Furthermore, it provides valuable base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extbooks for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성미,박미정. (2023).생태전환교육 도입을 위한 가정과 교과서의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5 (2), 1-20

MLA

조성미,박미정. "생태전환교육 도입을 위한 가정과 교과서의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5.2(2023):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