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용노동부 학습조직의 현업적용도 영향 변인 분석

이용수 32

영문명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Transfer of Training of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Learning Organization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김민규 이종찬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42권 제3호, 61~8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고용노동부 학습조직의 현업적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을 탐색하고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하여 학습조직 참가자의 현업에 도움이 되도록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학습조직의 현업적용도 영향 변인을 개인배경 특성, 학습자 특성(자기효능감), 교육프로그램 특성(전이설계, 직무관련성), 조직 특성(상사와 동료지원)으로 선별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고용노동부 학습조직 참가자 255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및 정규성검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학습조직 참가자의 개인배경 특성에서는 근속연수가 2년 초과한 참가자가 2년 이하 참가자보다 현업적용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 특성의 자기효능감은 현업적용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프로그램 특성의 전이설계와 직무관련성은 현업적용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특성의 상사와 동료지원은 현업적용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여러 변인 중 학습조직의 현업적용도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조직의 현업적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조직이 또 다른 업무가 되어 부담이 되는 것이 아니라, 학습조직을 통해 현업에 적용할 수 있는 자기효능감이 높은 참가자의 모집이 필요하겠다. 아울러 전이설계와 직무관련성이 높은 학습조직 활동과 상사와 동료의 지원이 현업에서의 적용을 높이는 변인임을 인식하고 개인의 노력과 조직에서의 학습하는 분위기 조성 등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transfer of training of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learning organization to provide implications.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55 participants in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s learning organization. For empir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gular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paper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background of participant, years of service which is more than 2 years had a positive effect on transfer of training. Second, self-efficacy of learner characteristic has a positive effect on transfer of training. Third, transfer of training and job relevance of educational program have positive effect on transfer of training. Fourth, supervisor and peer support have positive effects on transfer of training. Fifth, among the variables, the most positive variable affecting the transfer of training of learning organization was self-efficacy.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transfer of training of learning organization, it should not be a burden, but recruiting high self-efficacy participants,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ies that are highly related to transfer design and job relevance, and support from supervisors and peers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el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규,이종찬. (2023).고용노동부 학습조직의 현업적용도 영향 변인 분석. 직업교육연구, 42 (3), 61-81

MLA

김민규,이종찬. "고용노동부 학습조직의 현업적용도 영향 변인 분석." 직업교육연구, 42.3(2023): 61-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