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 직업교육 정책에 관한 직업계고 교원 및 학생의 인식 분석
이용수 286
- 영문명
- Analysis of Perceptions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Policies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찬 송낙현 최현정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23권 제1호, 129~15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 직업교육 정책에 대한 직업계고 교원과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 문헌분석과 직업계고 교원 및 학생 대상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교육과정으로써 직업계고 학점제에 대하여 직업계고 교원들은 교육과정 변화를 인식하고 있으나 학점제 운영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현실적인 애로사항들이 있다고 반응하였다.
둘째, 취업역량 강화에 대해서 학생들은 자격증 취득, 전공실무능력 향상 등에 대한 요구가 강했으나, 교원들은 바른 인성 및 사회성 역량을 강조하여 교원과 학생의 인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교원은 교육과정 운영에서 산학 연계에, 각종학교 교원은 학생 진로를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계고 학생들의 직업계고 학점제 인식 수준은 특성화고보다 마이스터고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과정의 강화 영역에 대해 직업계고 학생들은 ‘실무능력 함양을 위한 전공과목 수업’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다. 특성화고 학생들은 ‘예체능 수업’과 ‘기초학력 보강 수업’에, 마이스터고는 ‘외국어 수업’에, 각종학교 학생들은 ‘예체능 수업’과 ‘적성과 소질 개발을 위한 다양한 방과 후 수업’에 대한 요구가 높아 그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더하여 제언하면, 직업계고는 산·학·관 협력체계 구축하고 학교별 차별화된 정규 교과과정 프로그램을 설계·운영하되 직업계고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여 취업 및 진로교육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policy by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vocational school teachers and vocational school students o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polic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literature review and a survey of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and student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s a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vocational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e curriculum change, but they complained about the difficulty of operating the credit system and responded that that there were practical practical difficulties.
Second, in terms of strengthening employment competencies, students had strong needs for acquiring certificates and improving practical skills in their majors, but teachers emphasized good character and social skills, indicating that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were different.
Third, teachers at meister high schoo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emphasize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in curriculum management, while teachers at consigned vocational schools emphasize student career paths.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vocational school credit system among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higher at meister high schools than at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when it came to areas of curriculum enhancemen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most likely to ask for ‘classes in major subjects to develop practical skils,’ while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were more likely to ask for ‘classes in artistic skills’ and ‘classes to reinforce basic education,’ meister high schools were more likely to ask for ‘ classes in foreign languages,’ and consigned vocational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ask for ‘classes in artistic skills’ and ‘various after-school classes to develop aptitudes and talent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vocational high schools should establish an industry-academia-government cooperation system, design and operate differentiated regular curriculum programs for each school, and strengthen their competencies for employment and career education by reflecting the need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중등 직업교육 정책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