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고령자의 노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322

영문명
Factors Associated with Frailty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2006-2018)
발행기관
한국노년학연구회
저자명
김정욱 최영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연구』제32권 제1호,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노쇠는 기능 저하나 장애, 입원 및 사망 등으로 이어지는 주요 공중 보건 문제이다. 본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이용하여 중․고령층의 노쇠와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은 우선 수년에 걸친 조사자료를 모두 하나로 합한, 즉 횡단적 자료를 토대로 노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구통계학적, 사회경제적, 사회적 기능, 건강행태, 그리고 건강 상태 요인)의 효과를 확인하고, 또 그 조사자료를 측정 시점의 시간적 차이를 두어 종단적 접근 방식에 의해 요인들의 효과를 살펴본 것이었다. 횡단적 자료를 토대로 분석했던 결과, 노쇠가 인구학적 요인(남성, 고령층, 배우자가 없는 자, 그리고 농촌지역 거주자), 사회경제적 요인(저학력, 저소득, 그리고 경제적 활동이 없는 자), 사회적 기능 요인(친한 친구와의 만남 횟수 및 사회활동 참여), 건강행태 요인(음주자 및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자), 그리고 건강 상태 요인(만성질환 개수, 우울, 인지 능력, 일상생활 수행능력평가, 그리고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평가)과 관련됨을 확인했다. 또 종단적 성격의 자료를 살펴본 결과, 앞에서 언급한 횡단적 성격의 자료 분석 결과와 거의 유사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경제적 또는 신체적으로 취약한 노인들을 공중 보건 개입의 우선 대상자로 선정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Frailty is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leading to functional decline or disability, hospitalization, and death.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frailty in the middle-aged and old age groups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Data analysis first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factors influencing frailty (demographic, socio-economic, social function, health behavior, and health status factors) based on cross-sectional data that integrated survey data over several years into one. Furthermore, the effect of the factors was examined in a longitudinal approach with a time difference in the time of measurement of the survey data. As a result of cross-sectional data analysis, demographic factors (male, elderly, single, and rural residents), socio-economic factors (people with low education, low income, and no economic activity), social function factors (number of meetings with close friends and/or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ealth behavior factors (drinkers and people who do not exercise regularly), and health status factors (number of chronic diseases, depression, cognitive ability, ADL, or IADL) were confirmed to be related to frailty.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n frailty with longitudinal data, it was almost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cross-sectional data analysis mentioned earli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and support public health interventions for the older adults who are socially, economically, or physically vulnerable. It is suggested that the intervention program should include counseling and education related to improvement of willpower for recovery from frailty, and training related to improvement of physical function to perform daily life independently rather than improvement of a specific single indicator.

목차

I. 서 론
Ⅱ. 방 법
Ⅲ. 결 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욱,최영. (2023).중·고령자의 노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연구, 32 (1), 1-26

MLA

김정욱,최영. "중·고령자의 노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연구, 32.1(2023):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