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기반 해외 교육 봉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이용수 64
- 영문명
- Autobiographical Narrative on Experience of a University Lecturer’s Online-based Overseas Educational Voluntary Activity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임고운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1권 제1호, 35~5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 대학 교수자가 베트남 신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기반 해외 교육 봉사를 수행한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이다. 연구자인 ‘나’는 베트남 호치민 시에 설립된 신학교 남학생 9명을 대상으로 총 9주간 온라인 실시간 화상수업을 운영하며 그 경험을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 자료로써 개인 저널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인 시간성, 장소성, 사회성을 고려하여 연구자가 경험한 교육적 도전을 크게 3가지 주제, 곧 만남, 재구성, 변화라는 개념으로 도출하였다. 만남에는 ‘반응의 적시성에 대한 혼돈’, 재구성에는 ‘교육 내용에서 현장과의 ’얽힘‘에 대한 고려’, 변화에는 ‘의미 있는 학습경험 생성’이라는 구체적인 주제를 부여하였으며, 이에 관한 연구자의 경험을 이야기하고, 각 경험이 어떻게 역사적, 사회·문화적, 제도적인 요소들의 복잡한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되고 이해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의 이야기 속에서 경험된 온라인 기반 해외 교육 봉사에서 봉사자로서 교수자가 고려해야 할 교육적 도전의 의미를 개인적, 실제적, 사회적 정당성에 근거하여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about the experience of a university lecturer conducting an online-based overseas educational voluntary activity for Vietnamese seminarians. Researcher “I” formed research data by writing a personal journal to embody the experience.
As a result, three experiences of pedagogical challenges, ‘meeting’, ‘reconstruction’, and ‘change’ were deprived in consideration of time, place, and sociality, which are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s. I talked about the topics of ‘confusion
about just-in-time of the response’, ‘consideration of ’entangle’ with the field in educational content’, and ‘creating a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specifically assigned to these three topic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how each experience is formed and understood in a complex interaction of historical, sociocultural, and institutional elements. Through this, the meanings of pedagogical challenges to be considered in online-based overseas educational voluntary activity were presented based on personal, practical, and social legitimacy.
목차
Ⅰ. 내러티브를 시작하며
Ⅱ. 연구 방법
Ⅲ. 한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기반 해외 교육 봉사 경험 이야기
Ⅳ. 내러티브를 마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