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온라인 팀 협력 학습 결과의 군집유형에 따른 학습 과정과 협력 학습에 대한 흥미의 차이

이용수 52

영문명
Differences in Learning Process and Course Interest According to the Cluster of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Outcomes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김민정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34권 제4호, 741~76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협력 학습 과정에 대한 충실성과 협력 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여 주기 위한 교수적 전략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협력 학습의 결과 하위요인인 팀의 학습 산출물, 개인의 학습 결과의 두 차원에 따라 어떠한 군집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고, 각 군집 별로 협력 학습의 과정과 협력 학습에 대한 흥미에서의 차이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총 143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군집 분석을 하였다. 군집 분석 결과 총 4개의 군집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군집1은 개인 퀴즈 점수는 높고 협력 산출물 결과가 낮은 ‘개인학습 우수집단’ 군집2는 개인 퀴즈 점수는 낮고 협력 산출물 결과가 높은 ‘협력 학습 우수집단’ 군집3은 ‘통합적 학습저조 집단’ 군집4는 ‘통합적 학습 우수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군집 별 학습 과정(협력 학습 기여도)의 차이 분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통합적 학습 우수집단은 개인학습 우수집단과 통합적 학습저조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군집 별 협력 학습 흥미의 차이 분석을 위해서는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Wilks의 람다=.76, p<.05). 구체적으로는 하위요인 주의집중과 관련성에서는 통합적 학습 우수집단이 개인학습우수집단보다, 자신감에서는 통합적 학습 우수집단이 개인학습 우수집단과 통합적 학습 저조집단보다, 만족감에서는 통합적 학습 우수집단이 다른 모든 군집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끝에서는 각 군집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협력 학습의 교수설계에서 고려해야 하는 점들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usters of collaborative learning outcomes and learning process and collaborative learning interest. For the purpose,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a total of 143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four cluster types are revealed Cluster 1 was named as an ‘excellent group for individual learning’ because it was a group with high individual quiz scores but low team output scores. Cluster 2 was named as an ‘excellent group for collaborative learning’ because it was a group with high team output scores but low individual quiz scores. Cluster 3 was named an ‘integrated learning poor group’ because both individual quiz scores and team output scores were low. Cluster 4 was named an ‘integrated learning excellent group’ because both individual quiz scores and team output scores were high. 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learning process by cluster, and as a result, Cluster 4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Clusters 1 and 3.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collaborative laerning interest by cluster, MANOVA was conduct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ilks' Lambda=.76, p<.05). Specifically, in sub-constructs, Cluster 4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Cluster 2, Cluster 4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Cluster 1 in relevance, Cluster 4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Cluster 1 and Cluster 3, and Cluster 4 showed a significant higher score than all other clusters in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at the end of the study, the points to be considered in the instructional design of collaborative learning were discussed,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cluste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정. (2022).온라인 팀 협력 학습 결과의 군집유형에 따른 학습 과정과 협력 학습에 대한 흥미의 차이. 교육방법연구, 34 (4), 741-762

MLA

김민정. "온라인 팀 협력 학습 결과의 군집유형에 따른 학습 과정과 협력 학습에 대한 흥미의 차이." 교육방법연구, 34.4(2022): 741-7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