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 문서의 비교 분석
이용수 3751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ocum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과정개발원
- 저자명
- 김수영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제1권 제2호, 131~14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과정 총론의 측면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문서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2015,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여러 문헌들을 분석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총론의 측면에서 나타나는 형식과 내용 측면에서 개선된 안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비교 사항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주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변화된 문서 체계를 제시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구성의 측면에서 목차의 재구성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학교급별 주요 쟁점 사항인 진로연계학기, 자유학기제, 고교학점제 등의 편성 운영 방안이 구체화 되었다. 뿐만 아니라 비전을 위한 주요 쟁점 사항이 교육과정 문서에서 구체화 되었다. 이를 통해 학교 교육과정 자율성과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에 대한 요구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urriculum documents by analyz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verall curriculum. For this study, several literatures on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reviewe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improved plan in terms of form and content in terms of general discussion. The main comparisons found in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 plans to solve the major problem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a changed document system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as presented. In addition, the table of contents was reorganized in terms of curriculum composition. In addition, major issues at each school level, such as career-related semesters, free semester system,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were specified. In addition, major issues for the vision were embodied in the curriculum document. This will further strengthen the demand for school curriculum autonomy and teachers' curriculum expertise.
목차
Ⅰ. 서론
Ⅱ.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의 특징
Ⅲ. 2022 개정 교육과정 문서의 특징
Ⅳ.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 문서의 비교 분석 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