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교육 One-Stop 플랫폼 개선 및 활성화 방안
이용수 84
- 영문명
- Improvement and Revitaliz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One-Stop Platform
- 발행기관
- 한국복지경영학회
- 저자명
- 윤성화 박상욱
- 간행물 정보
- 『복지경영학연구』복지경영학연구 제11권, 87~10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보건복지부 주관의 교육통합관리시스템의 기능 개선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서 어린이집에 관련 된 기존 교육(신청,접수, 이수 확인) 의 수기 관리 방식에서 벗어나 보육교직원 교육의 효율적 관리 및 사용자 편성 제고를 위한(one-stop) 가칭 “교육통합체계 플랫폼(LMS)을 통해 교육관리체계의 일원화를 통해 활성화하여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맞춤교육에 상생을 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직원들의 다양한 교육은 여러 기관(17개)에서 분산되어 실시되고 있다. 타부처 및 공공기관의 교육 이수 결과를 교육통합체계 플랫폼(LMS)과 연동하여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둘째, 민간기관에서도 보육교직원의 의무;필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이수 결과는 본인이 출력하여 보관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교육통합체계 플랫폼(LMS) 이수결과를 업로드하여 사용자의 교육시간 이수결과 등 이력관리에 편리성을 제공한다. 셋째, 2022년도 보육사업안내 보육교직원 보수교육을 위한 시스템이 있으나 보육교직원의 자격관리 등에 한정되고 있으며 지존 시스템 교육통합관리시스템을 가칭 교육통합체계 플랫폼(LMS)으로 명칭변경 하여 교육시스템의 기능확대 개선을 통해 활성화하는 방안으로 보육교직원등의 의무 및 필수 교육중 온라인(사이버)교육을 신청, 접수, 이수결과 확인, 인정시간 이력관리 등을 한번에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최종적으로 교육통합체계 플랫폼을 구축하여 비효율적인 어린이집 교육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및 행정력 낭비의 불편을 줄이고, 보육환경에 대한 보육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를 해소하여 어린이집 운영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eks ways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integrated education management system unde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move away from the manual management method of childcare (application, receipt, and completion) and activate it through the one-stop education system. First, various education of childcare faculty members is distributed and conducted in 17 institutions. It is intended to minimize user inconvenience by allowing users to check the results of education completion by other ministries and public institutions from time to time in conjunction with the Education Integration System Platform (LMS). Second, private institutions are also providing the duties of childcare teachers and staff; necessary education. However, the results of the training completion are cumbersome to print and store by themselves, so it provides convenience for users to manage their history, such as the results of the training time completion by uploading the results of the training system (LMS). Third, although there is a system for maintenance and training of childcare staff in 2022, it is limited to qualification management of childcare staff, and the name of the best system education integration system should be changed to the LMS so that online education among childcare staff can be applied, received, checked, and recognition time can be managed at once.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finally establish an education integration system platform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wasting time and administrative power in inefficient daycare center education management,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daycare center operation by solving the problem of poor childcare service quality.
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설문조사 및 결과
I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저출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