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고학년의 방과 후 시간사용과 시간부족감: 2009, 2019년 생활시간조사 비교

이용수 135

영문명
After-School Time Use and Time Poverty among Upper Elementary Students: A Comparison between 2009 and 2019 using Time Use Survey
발행기관
한국인간발달학회
저자명
박정민 진미정
간행물 정보
『인간발달연구』제29권 제4호, 31~4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초등학생은 방과 후 시간을 통해 학교 일과 이후 시간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으며, 동일한 시간 자원의 사용도 구성 방식에 따라 주관적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년과 2019년 초등 고학년 아동의 평일 시간사용을 비교하고 방과 후 시간사용 유형에 따른 시간부족감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통계청 생활시간조사의 초등 고학년 432명(2009년)과 521명(2019년) 평일 시간일지를 대상으로, ‘개인 유지,’ ‘학습,’ ‘교제,’ ‘여가,’ ‘이동’을 분류요인으로 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2009년에 비해 2019년 개인유지, 스포츠 및 레포츠, 게임, 전체 여가 시간은 증가하였으며, 학습, 문화활동 여가 시간은 감소하였다. 둘째, 방과 후 시간사용은 2009년 네 유형, 2019년에는 두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2009년 방과 후 시간사용은 학습(56.6%), 여가(25.4%) 중심 집단과 교제 및 학습 집단(3.7%), 학습중심 고른분포(14.3%)로 분류되며, 2019년에는 학습(71.5%)과 여가(28.5%) 중심 집단만이 유의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2009년에는 학습 집단에 비해 여가 집단과 학습중심 고른분포 집단이, 2019년에는 학습 집단에 비해 여가 집단이 시간부족감을 적게 느꼈다. 이 연구는 2009년과 2019년을 비교해 학습 시간의 감소와 여가 시간의 증가, 방과 후 시간사용 유형의 감소를 포착하였다. 또한 아동의 시간부족감을 고려해, 확대되는 온종일 돌봄 정책에서 여가의 비중을 늘리고, 방과 후 시간 활용을 더욱 고르게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eely plan their own schedule during after-school time. Perceived time poverty varies depending on the way they compose the same hours. This study compares the time use of upper elementary students in 2009 and 2019 and examines the difference in time poverty according to the type of after-school time use. Time Use Survey was administered on 432 (2009) and 521 (2019)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actors of “personal maintenance,” “learning,” “social activities,” “leisure,” and “moving”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Compared with 2009, personal maintenance and leisure increased, whereas learning and leisure decreased in 2019. After-school time use was classified into four and two types in 2009 and 2019, respectively. In 2009, after-school time was classified as “learning” (56.6%), “leisure” (25.4%), “social activities” (3.7%), and “learning-focused even time distribution” (14.3%). In 2019, only “learning” (71.5%) and “leisure” (28.5%), were present. In 2009, less time poverty was perceived for both “leisure” and “learning-focused even time distribution” than “learning,” In 2019, time poverty was perceived for “leisure” than “learning.” By comparing 2009 and 2019,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consider the time poverty of children an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leisure in after-school care policy in South Korea.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민,진미정. (2022).초등학교 고학년의 방과 후 시간사용과 시간부족감: 2009, 2019년 생활시간조사 비교. 인간발달연구, 29 (4), 31-48

MLA

박정민,진미정. "초등학교 고학년의 방과 후 시간사용과 시간부족감: 2009, 2019년 생활시간조사 비교." 인간발달연구, 29.4(2022): 3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