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졸 청년의 진로역량 관련 요인 탐색

이용수 217

영문명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career competency of university graduates
발행기관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저자명
정성경(Jeong, Seongkyeong) 박환보(Park, Hwanbo)
간행물 정보
『핵심역량교육연구』제7권 제2호, 89~11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을 갓 졸업한 청년들의 진로역량 관련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분석을 위해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2018 데이터와 대학알리미 정보공시 자료를 활용하여 다층모형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역량 함양에 있어서 개인배경 특성으로 성별, 가구소득, 그리고 졸업평점이 관련 변인으로 나타났다. 개별 맞춤형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확대에 있어서 성별, 소득, 성적과 관련한 학생들의 상황 또한 고려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적지지는 대졸 청년이 진로역량 획득에 있어서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청년들이 자신의 삶에 대해서 낙관적으로 조망하고, 나아가 자신의 미래와 진로를 함께 그려나가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사회 구조와 제도의 변화를 끌고가야 하되, 동시에 주변에서 이들 청년 세대를 지지해주고, 기꺼이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도 함께 형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노동시장에서도 자신의 진로역량을 발휘하도록 하는 대학 차원의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방향을 고민해볼 수 있겠다. 셋째, 개인수준에서 투입한 진로 관련 교육과 서비스 경험 중에서 인턴과 같은 직장체험 프로그램의 참여가 대졸 청년의 진로역량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역량을 증진하기 위해 대학교육과정에서 인턴 체험, 직장 경험을 충분히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고, 참여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대졸 청년의 진로역량 차이에 대한 대학의 설명력은 약 1%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대학을 졸업한 학생이 비수도권 대학을 졸업한 학생보다 진로역량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대학마다 교육자원으로 활용가능한 지역사회의 여건이 다르므로 진로교육 운영에 대한 대학의 자율성을 지지해야 하지만 사회적 형평성 차원에서 비수도권 대학의 대학생들이 진로역량을 함양하도록 교육과 서비스의 개선과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study is exploring factors related to university graduates' career competency. For analysis, this study utilized a hierarchical linear method using the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8 data for university graduates and the information disclosure data of the university notification.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ender, household income,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related variables fostering career competency. In expanding individually tailored career education programs, students' situations related to gender, income, and grades also need to be considered. Second, social support can be a positive factor in the acquisition of career competency among university graduates. In order for young people to have an optimistic view of their lives and to draw their future and career paths together, they need to attract changes in social structure and institutions in the long run, but at the same time, a social atmosphere that supports and is willing to help these younger generations around them needs to be formed. In addition, we should consider the direction of a university - level career counseling program that demonstrates students’ career competency in the labor market. Third, among career-related education and service experiences input at the individual level, participation in workplace experience programs such as internships was found to be a positive factor in university graduates' career competen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 sufficient opportunities to fully experience internship and work experience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and to prepare measures to increase participation. Finally, the university's explanatory power for the difference in career competency of graduates was found to be about 1%, and students who graduated from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tended to have higher career competencies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Since each university has different community conditions,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university's autonomy in the operation of career education, but in terms of social equity, it is necessary to improve education and services so that university students in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can develop career competen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성경(Jeong, Seongkyeong),박환보(Park, Hwanbo). (2022).대졸 청년의 진로역량 관련 요인 탐색. 핵심역량교육연구, 7 (2), 89-111

MLA

정성경(Jeong, Seongkyeong),박환보(Park, Hwanbo). "대졸 청년의 진로역량 관련 요인 탐색." 핵심역량교육연구, 7.2(2022): 89-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