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대면교육환경에서 인지적실재감, 사회적실재감,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만족도, 창의융합역량간의 구조적관계

이용수 189

영문명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gnitive presence, social prese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satisfaction and creativity confluence competency in non 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발행기관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저자명
김기홍(Kim, Kihong)
간행물 정보
『핵심역량교육연구』제7권 제2호, 47~6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만족도, 창의융합역량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최근 창의융합역량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교육적 처방으로 협력적 학습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집단 활동을 통해 고차원적 사고가 발현되길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비대면 교육으로의 전환이 개별학습형태로 인식됨에 따라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고민과 더불어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의 만족도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교육환경에서 창의융합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습자가 인식하는 인지적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 그리고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만족도의 관계가 어떠한지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교육에 참여한 A대학교 재학생 300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으며, 287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첫째, 인지적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 모두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은 창의융합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만족도를 매개로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수업설계 시 교수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presence, social prese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satisfaction, and creativity confluence competency in a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Recently,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confluence competency has been emphasized. As an educational prescription, it is expected that high-level thinking will be expressed through group activities in a collaborative learning situation. However, as the transition to non-face-to-face education was recognized as an individual learning form, concerns about the direction of education and interest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is educational environment, it was necessar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perceived by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as factors affecting creativity confluence competency. In this study, 300 students at A University who participated in non-face-to-face learning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and data from 287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fitness index of the hypothesis model establish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good.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first, both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do not directly affect creativity confluence competency, but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matters that instructors should consider when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in a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a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홍(Kim, Kihong). (2022).비대면교육환경에서 인지적실재감, 사회적실재감,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만족도, 창의융합역량간의 구조적관계. 핵심역량교육연구, 7 (2), 47-68

MLA

김기홍(Kim, Kihong). "비대면교육환경에서 인지적실재감, 사회적실재감,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만족도, 창의융합역량간의 구조적관계." 핵심역량교육연구, 7.2(2022): 47-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