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교와 도교의 습합(習合) 형식에 대한 고찰

이용수 66

영문명
Syncretism of Taoism and Buddhism in an Painting at Bukchon Art Museum
발행기관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저자명
강소연
간행물 정보
『불교와 사회』제11권 제1호, 115~14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북촌미술관 소장 조선초기 추정 <신선도(神仙圖)> 작품을 중심으로 불교와 도교의 습합적 형식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본 작품의 형식적 도상학적 분석을 통해 시대 판정의 타당성 및 장르 구분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희귀한 도상으로 추정되는 본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기초 연구로 삼고자 한다. 본도는 일견(一見) 신선도의 장르에 속하는 작품으로 사료된다. 화면 중심에는 주(主)존상으로 보이는 동파건(東坡巾)을 쓴 흰 수염의 노인이 있는데, 그는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상징하는 학(鶴), 노송(老松), 영지(靈芝), 국화(菊花), 거북이, 사슴, 천도(天桃), 호로병(葫蘆甁) 등의 도상들에 의해 둘러싸고 있다. 이에 전형적인 불로불사(不老不死)를 상징하는 길상(吉相)으로서의 신선(神仙)을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본도 주존상의 머리주변에서는 두광(頭光)이 발견되고, 지물(持物)로서 오른손에 불자(拂子)를 들고 있고, 왼손은 설법인(說法印)의 수인(手印)을 하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불교의 설법하는 선사(禪師) 또는 나한(羅漢)으로서의 특징이 간취된다. 또, 주존상의 (정면에서 보아) 우측에는 나한도 등 불교회화에서 종종 확인되는 형태의 향로(香爐)와 향합(香盒)이 발견된다. 특히 주존상의 앉은 자세와 공양여인과의 대각선 상하 배치 구도에서는 헌공(獻供) 또는 청법(請法)을 하는 인물과 이에 대응하여 설법(說法)을 베푸는 존상이라는 상관관계적 구성을 찾아볼 수 있다. 이는 나한도 또는 수월관음도 등의 불화 장르에서 확인되는 전형적인 구도이기도 하다. 상기에 언급한 이러한 특징들을 해당 시대와 비슷한 시기로 추정되는 선대(先代) 작품들 중에 가장 큰 유사성을 띄는 작례들을 추려 비교 분석하였다. 예를 들면, 개인소장 고려시대 추정 <신선(神仙)과 학(鶴)>, 동경국립박물관소장 고려시대 1235년명 <오백나한도(五百羅漢圖) 제23천성존자(天聖尊者)>, 로스앤젤러스 카운티 뮤지엄 조선시대 1562년명 <오백나한도(五百羅漢圖) 제153덕세위존자(德勢威尊者)> 등과 상세한 비교 고찰을 진행하였다. 작품의 구도와 형식적 특징, 그리고 그림 속에 등장하는 이 같은 제반 도상학적 상징 등을 분석해본 결과, 결론적으로본신선(神仙)과 나한(羅漢)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반영되었다고 판단된다. 이에 도교적(道敎的) 신선과 불교적(佛敎的) 나한의 형식적 특징이 습합(習合)된 작품으로, 그 창의성이 돋보이는 작품이라 하겠다. 또, 세련된 필치와 고풍스러운 품격은 당시 주변 작례와 비교해 보았을 때, 궁정 세화(歲畵) 또는 왕실 발원으로 간주될 만큼의 예술적 기량을 보인다. 특히 본 작품의 불교적 특징은 조선후기의 독성각에 안치되는 산신도(山神圖)나 독성도(獨聖圖)의 형식과 구도 정착에 기여한 시원적 역할을 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자는 ‘불교와 도교의 습합적 관점’에서 논지를 전개하였다. 또, 본론에서 상세하게 제시한 형식적 논증을 기반으로, 본도가 조선 초기 약 15세기경 작품으로서의 타당성을 검증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formalistic and iconographical features of the newly discovered painting the . The painting shows compound elements of both Taoism and Buddhism which is very interesting and unique feature unlikely to be found in the other immortal paintings of the time. The white beard main figure can easily be regarded as a Taoist immortal due to the fact that he is wearing Dōngpōgan (東坡巾) and is surrounded by icons such as pine tree, crane, nectarine, chrysanthemum, tortoises, deer, lingzhi mushroom (靈芝) and húlu vessel (葫蘆甁) which are all symbol of longevity. However, on the other hand, a halo is found around the head of the main figure representing Buddhist enlightenment and he holds a fúzi (拂子) as a possession in his right hand and his left hand is posing a preaching mudra. It show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Buddhist sermon or Arhan.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figure (seeing from the front) lies a censer and incense box usually found in the Arhan paintings. In particular, the sitting posture of the main lord and the diagonal top-down arrangement with the offering woman show the typical form of the devotee asking for the law to the corresponding main figure. This is a composition which can be confirmed in the Buddhist genre such as the Arhan paintings or Water-Moon Avalokiteˊsvara paintings. Complex characteristics mentioned above are carefully analyzed in the paper in comparison with the most similar works estimated to be contemporary works. Through the detailed comparison of the composition, formal characteristics, and icon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s with related works such as the personal collection of , dated 1235, dated 1562, it was concluded that the elements of Taoist and Buddhist metaphors were reflected in a complex way. As a result, the work combine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aoist immortal and Buddhist arhan synthesizing Taoism and Buddhism. And such an unique aspect of the painting makes its creativity stands out. The sophisticated style and classical dignity of the work show a skill that is comparable to the royal origins when compared with the works of the early Joseon period. Particularly, the Buddhist features of the works are considered to have played a primary role in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form and composition of the paintings of and , which are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conclusion, the work can be considered as a masterpiece of excellence of the royal court in the 15th century. The work reaches beyond the level of conventional paintings of immortal or longevity by adding the Buddhist element of profound enlightenment .

목차

Ⅰ. 서론
Ⅱ. 구도와 구성의 비교 고찰
Ⅲ. 형식적 특징과 도상적 내용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소연. (2019).불교와 도교의 습합(習合) 형식에 대한 고찰. 불교와 사회, 11 (1), 115-145

MLA

강소연. "불교와 도교의 습합(習合) 형식에 대한 고찰." 불교와 사회, 11.1(2019): 115-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