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에 관한 불교윤리학적 인식과 실천

이용수 25

영문명
Buddhist Ethical Perspective of Disability: Focusing on the “Bodhicaryāvatāra”
발행기관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저자명
김근배
간행물 정보
『불교와 사회』제11권 제1호, 59~8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교에서는 모든 인간을 불성을 지닌 평등한 존재로 받아들인다. 여기에 장애인이 예외가 될 수 없다. 장애인은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건강한 삶을 누릴 자격이 있는 ‘존엄한 존재’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여전히 장애인을 비정상으로 범주화하고, 사회의 주변부적 존재로 규정하거나, 은연중에 ‘보이지 않는 존재’로 살아가기를 요구한다. 장애인이 이러한 차별적 인식이나 사회적 환경때문에 고통을 받고 있다면, 우리 사회를 성숙한 시민사회라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장애인이 우리 사회에서 당당한 주체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상에서 장애인이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게 하는 공업(共業)적 차원의 물리적 환경의 구축과 함께, 시대적 흐름에 맞는 장애인관의 확립이 요구된다. 불교적 장애인관은 『입보리행론』에서 제시되었던 자타평등법(parātma-samatā)과 자타상환법(parātma-parivartana)에 근거한 보리심 수행법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불교적 수행 혹은 실천을 통해 장애인을 포함한 열악한 환경에 놓인 사회적 약자에 대한 윤리적 감수성은 함양된다. 그리고 그 형성된 성품이 자연스럽게 사회적 실천으로 드러난다. 장애인을 비롯한 이방인, 소수자, 사회적 약자들의 기본적 권리가 존중되고 수용되는 사회가 우리 모두가 바라는 살기 좋은 사회이다.

영문 초록

Buddhism accepts all human as equal beings with Buddha-dhātu [佛性]. The disabled cannot be an exception here. Disabled people are “respectable beings” who deserve to lead a decent life equally with non-disabled people. However, our society still requires us to categorize disabled people as abnormal and to define them as outcasts of society or to live as “invisible beings” in a metaphorical way. If a disabled person suffers from this discriminatory perception or social environment, it would be difficult to call our society a mature civil society. To ensure that the disabled can live as a responsible player in our socie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view of the disabled that suits the trend of the times,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a physical environment that allows the disabled to live conveniently in their daily lives. The Buddhistic view for impairment can be found in the practice of just based on the Parātma-Samatā [自他平等法] and the Parātmaparivartana [自他相換法] which were presented in the Bodhicitta [菩提 心]. Through this Buddhist performance or practice, ethical sensitivity to the socially vulnerable in poor conditions, including the disabled, is fostered. And the character of it naturally manifests as a Collective Karma level social practice. A society where the basic rights of the disabled, the alien, the minority, and the socially disadvantaged are respected and accepted is a life-friendly society we all hope for.

목차

Ⅰ. 서론
Ⅱ. 장애에 대한 동․서양 시선의 변천과정
Ⅲ. 불교의 장애에 대한 인식의 틀
Ⅳ. 윤리적 진보와 장애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근배. (2019).장애에 관한 불교윤리학적 인식과 실천. 불교와 사회, 11 (1), 59-86

MLA

김근배. "장애에 관한 불교윤리학적 인식과 실천." 불교와 사회, 11.1(2019): 59-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