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법화현의』의 관심론(觀心論)

이용수 17

영문명
A Theory of Observation of Mind in the Fa-hua-xuan-yi
발행기관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저자명
지창규
간행물 정보
『불교와 사회』제2권, 115~15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法華經』의 현의를 해석하고 있는 『法華玄義』는 당초 교문 저작이라 하여 智顗의 修證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법화경』의 현의를 밝히는 데 주력하는 저작으로 이해되어왔다. 더구나 五時八敎와 같은 천태의 대표적인 교판조직이 소개되어 있으므로 일반에는 교판서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妙法蓮華經』의 玄義를 밝히면서 천태교상문의 근간을 이루는 『법화현의』에는 의외의 觀心論이 보인다. 『법화현의』는 오중현의를 七番共解와 五重各釋으로 풀이하는 가운데 칠번공해에서는 관심단을 설정하여 五番에 대한 철저한 관심을 요구하고 있고, 오중각석에서는 名體宗用敎마다 관심단을 제정하여 교상을 관심하도록 하고 있다. 칠번공해에서 관심단을 설정하여 標章·引證·生起·開合·料簡을 관심토록 한 것은 연구방법론인 칠번공해마저 관찰함으로써 敎觀相資를 취하도록 한 것이다. 이런 토대 위에 오중현의마다 관심단을 제정하여, 名玄義에서는 妙法을 圓五行과 十乘觀法 및 經觀으로, 體玄義에서는 諸法實相을 십승관법으로, 敎相玄義에서는 醍醐의 妙味를 三種敎觀으로 觀心케 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하면 교문 저작인 『법화현의』에 왜 이토록 敎相 이상으로 觀心이 강조된 것인가. 이것은 『법화경』의 현의를 밝히는 교상의 단순한 이해보다는 『법화경』의 실상묘법을 수증하는 것에 궁극적 의의가 있음을 절감한 智顗가 교관겸수의 특색을 유감없이 발휘한 것이라 볼 수 있다. 평생 수증으로 일관한 智顗로서는 觀心이 實相妙法의 총결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이상, 제법의 근본원리인 제법실상은 관문을 통해서만 들어갈 수 있으나 그럼에도 관심을 하지 않는 문자의 법사를 향해 智顗는 그토록 안타까운 심정을 토로하며 탄식하였던 것이고, 또 실상문자를 이해한 바탕위에 실상묘법에 대한 이해가 관심을 이끈다는 점에서 교상적 이해를 무시하는 암증의 선사를 향해 智顗는 뼈저린 심정으로 무척이나 애석해하고 질타했던 것이다. 『법화경』의 교상과 관법을 통해 證悟를 이룬 智顗는 敎나 觀에 치우치는 문자의 법사와 암증의 선사를 동시에 비판하면서 행인들에게 교관겸수의 가르침을 제시한 것은 분명하다. 더구나 관심을 가지고 실상묘법으로 통하는 길을 밝힌 智顗로서는 『법화현의』가 법화의 현의를 밝히는 교문저작이 라는 점에서 관심에 대한 강조에 더욱 유별난 모습을 보였다고 하겠다. 이와 같이 오중현의 전체를 통하여 開顯 뒤에 바로 觀心을 둔 것은 聞慧를 구족케 하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법화현의』에서 觀心이 開顯 이상으로 중요한 축이므로 『법화현의』 전체를 통하여 觀心을 체득해가는 방법이 교상저작임에 불구하고 관심저작 이상으로 조직적으로 설명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법화현의』의 교관체계는 『법화경』의 현의를 圓融敎相과 圓頓止觀으로 해석하면서 聞慧兼修와 敎觀相資를 역설할뿐만 아니라 대소승을 막론한 불교 경전을 四敎의 교상과 관심으로 조직함으로써 복잡다단한 불교 교리와 수행을 체계화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법화현의』는 經敎와 禪觀가 절묘하게 만나는 독보적이고 탁월한 교관저작이라 해도 좋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Fa-hua-xuan-yi (法華玄義) interprets the doctrine of the Lotus Sutra, and it is considered as one of the key writing about doctrine. So it is understood that the book may differ from Chih-I (智顗)’s practice, and it focuses on the demonstration of the doctrine of the Lotus Sutra. In addition, the writing describes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periods and orders of teachings such as the Five Periods and Eight Teachings, so it was known as a book of categorizing the period and order of teachings. However, the Fa-hua-xuan-yi, which is a fundamental basis of the doctrine of Tien-Tai and identifies the doctrine of Myo-beop-yeonhwa-gyeong (妙法蓮華經: the Lotus Sutra), shows a bit different view of observation of mind. The Fa-hua-xuan-yi interprets the five types of doctrines with the seven hermeneutical steps (七番共解) and the five explanations (五重各釋). The seven hermeneutical steps establish the objects of observation and demand through observation of the five steps. The five explanations establish the objects of observation in each doctrine (名, 體, 宗, 用, 敎) and demand observation of doctrines. The seven hermeneutical steps require observation of Pyo-jang (標章), In-jung (引證), Saeng-gi (生起), Gae-hap (開合), and Yo-gan (料簡). This is because by letting people observe a research method, the seven steps of interpretation, people may achieve the status of integration of a doctrine and observation. On the basis of this, the book establishes the objects of observation in each of the five types of doctrine: the doctrine of name interpretation (名玄義) suggests five perfect practices, the ten stages of meditation and the observation of sutra to observe the marvelous teachings; the doctrine of essence interpretation (體玄義) suggests ten stages of meditation to observe the true nature of dharma; the doctrine of teaching interpretation (敎相玄義) suggests the three kinds of doctrine and observation to observe the admirable Buddha nature. Then, what is the reason that the Fa-hua-xuan-yi emphasizes the observation of mind more than the doctrine? It seems that Chih-I (智顗) realizes ultimate significance of the practice of the true nature of dharma from the Lotus Sutra rather than a simple understanding of the doctrine of the Lotus Sutra, and fully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 of the integration of doctrine and observation. So,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observation of mind is a final objective of the true nature of dharma for Chih-I who paid attention to the practice throughout his life. A fundamental principle of dharma, the true nature of dharma can be achieved by observation, so Chih-I lamented over those who don’t practice the observation of mind and also sharply rebuked monks who neglect the understanding of the doctrine, because,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true nature, the understanding of the true nature of dharma brings the observation of mind. Chih-I attained enlightenment through the doctrine and the method of observation of the Lotus Sutra, and criticized monks who were biased by a doctrine or a method of observation, and also presented a teaching of the integration of doctrine and method of observation to the practicing monks. Moreover, Chih-I shed light on the way to the true nature dharma with the observation of mind, and in terms of that, the Fa-hua-xuan-yi is the book of doctrine that identifies the doctrine of the Lotus Sutra, he put more emphasis on the observation of mind. As mentioned above, locating the observation of mind behind the Gae-hyun (開顯: revealing) in the five types of doctrines is to attain the wisdom by learning teachings. With this, the observation of mind occupies a central part in the Fa-hua-xuan-yi rather than the Gae-hyun (開顯: revealing). The Fa-hua-xuan-yi provides categorized explanations about a procedure of

목차

1. 『法華玄義』의 觀門
2. 七番共解의 觀心
3. 行妙의 圓五行
4. 位妙의 最實位十心
5. ‘經’字 觀心
6. 體玄義의 十乘觀法
7. 敎相玄義의 三種敎觀
8. 天台의 觀觀論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지창규. (2010).『법화현의』의 관심론(觀心論). 불교와 사회, 2 (), 115-152

MLA

지창규. "『법화현의』의 관심론(觀心論)." 불교와 사회, (2010): 115-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