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 행복감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293

영문명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Happiness in Adolescents
발행기관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저자명
정세진(Jung, Se-jin) 김현숙(Kim, Hyun-sook)
간행물 정보
『교육과학연구』제24권 제3호, 1~3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행복감과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성을 종합 정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lderfer의 ERG이론을 기반으로 청소년의 행복감과 관련된 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로 구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고,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2000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 67편(학술지 29편, 학위논문 38편)이 최종 선정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행복감과 성장욕구 변인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다음으로 관계욕구, 생존욕구변인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행복감과 생존욕구 하위변인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가장 큰 효과 크기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는 건강, 경제수준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행복감과 관계욕구 하위요인과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또래관계가 상대적으로 가장 큰 효과 크기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는 가족관계, 사회관계, 교사관계, 부모관계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행복감과 관련된 성장욕구 하위요인 간 효과크기에서는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성격강점, 자기효능감, 동기 순으로 모두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몰입과 목표추구는 중간크기이며, 진로성숙도는 작은 크기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존욕구보다는 관계욕구와 성장욕구가 청소년의 행복감과 더 큰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ERG 요인의 하위요인 중 자아존중감이 높고, 또래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건강할 때 행복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행복감 증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youth happiness comprehensively. Meta-analysis based on Alderper's ERG theory, was conducted by dividing adolescents' desire for survival, relationship, and growth related to happiness, an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related variables was verified. The analysis target of this study was 67 papers(29 academic journals and 38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master's and doctoral degree papers and academic journals from 2000 to 20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rowth desire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happiness showed large effect sizes, and relationship desire variables showed medium or higher effect sizes, and survival desire variables showed medium or lower effect sizes. Secondly, the effect size of the sub-variables of desire for survival, stress showed the relatively largest effect size. And the following effect size was shown in the order of health and economic level. Thirdly, the effect size as a sub-element of desire for relationship, peer relations showed the relatively largest effect size. Next, the effect size was shown in the order of family relations, social relations, teacher relations, and parent relations. Fourthly, the effect size among the sub-factors of growth needs related to youth happiness, self-esteem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And it was followed that self-elasticity, personality strength, self-efficacy, and motivation all had a large effect. Immersion and goal-seeking were medium-sized, and career maturity was low.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hrough the results of a comprehensiv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variables influencing youth happi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세진(Jung, Se-jin),김현숙(Kim, Hyun-sook). (2022).청소년 행복감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과학연구, 24 (3), 1-35

MLA

정세진(Jung, Se-jin),김현숙(Kim, Hyun-sook). "청소년 행복감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과학연구, 24.3(2022): 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