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긍정적, 부정적 스트레스 지각과 상태희망의 관계에서 불안통제의 매개효과

이용수 155

영문명
Relationship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Stress Perceptions and State Hop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Control
발행기관
한국교육치료학회
저자명
최바올(Choi, Ba-Ole)
간행물 정보
『교육치료연구』제14권 제2호, 159~17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긍정적, 부정적 스트레스 지각과 상태희망의 관계를 불안통제가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한국판 불안통제 질문지, 상태희망 척도로 구성하였다. 585명으로부터 얻은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여 자료의 적합도를 확인하고, 변인 간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스트레스에 대한 긍정적 지각은 불안통제와 상태희망에 직접 영향을 미쳤고, 불안통제는 긍정적 스트레스 지각과 상태희망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부정적 스트레스 지각은 불안통제에 직접 영향을 미쳤고, 상태희망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불안통제는 부정적 스트레스 지각과 상태희망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통제 및 예측에 대한 주관적 판단에 따라 개인의 인지적, 정서적 과정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즉, 스트레스를 대처할 만한 것으로 지각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 차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스트레스에 처한 내담자를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실제와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anxiety control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stress perceptions and state hope.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The survey was composed of a perceived stress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anxiety control questionnaire, and a status hope scale. Answers from 585 participant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confirm the fit of the data, a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ositive stress perception had a direct impact on anxiety control and state hope, and anxiety control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stress perception and state hope. Negative stress perception did not directly affect the state of hope, but directly on anxiety control. Anxiety control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tress perception and state hope. The results imply individuals’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vary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appraisals about control and prediction of stress, suggesting it is adequate to evaluate clients’ personal perceptions of stress first and intervene based on them.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바올(Choi, Ba-Ole). (2022).긍정적, 부정적 스트레스 지각과 상태희망의 관계에서 불안통제의 매개효과. 교육치료연구, 14 (2), 159-178

MLA

최바올(Choi, Ba-Ole). "긍정적, 부정적 스트레스 지각과 상태희망의 관계에서 불안통제의 매개효과." 교육치료연구, 14.2(2022): 159-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