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 활동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내용분석

이용수 92

영문명
Content Analysis of Teacher Feedback on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진성희(Jin, Sung-Hee) 임고운(Im, Kowoon)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0권 제2호, 301~33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 활동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피드백내용을 구성하는 핵심 주제와 주제별 하위 요소, 그리고 특징적 표현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2021학년도 2학기 A대학교 핵심 교양 교과목 4개 분반에서 수행한 온라인 토론 활동에 대하여 총105명 학생에게 제공된 교수자 피드백 자료 421문장을 수집하였다. 엑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한자료를 정리하였으며, 정량적 분석을 위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정성적 분석을 위한 내용분석법을적용한 혼합연구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텍스트 마이닝 기법에따라 추출된 교수자 피드백의 토픽은 크게 4가지, 토론참여 및 의견교환, 주장에 대한 근거내용, 근거제시 및 인용방법, 입장선택 및 주장제기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내용분석법에 따라 교수자 피드백 내용을 분석한 결과, ‘내용’ 범주에서는 ‘이해’, ‘참여’, ‘표현’, ‘근거’ 4개의 중간 범주와 각각에 대한 총 11 개의 하위범주가 발견되었으며, ‘역할’ 범주에서는 ‘동기부여’, ‘인정’, ‘교정’ 3개의 중간 범주와 각각에대한 총 5개의 하위범주가 발견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수자 피드백 내용은 주제이해에서 비롯된의견형성과정에 대한 칭찬과 확인, 의견교환을 통한 토론 참여의 인정과 독려, 의견을 설명하고 제시하는 방법에 대한 교정, 근거자료의 수집과 사용에 대한 검토와 설명을 중심으로 한 특징적 표현이 나타났다. 두 분석 결과는 교수자 피드백 내용의 특징을 공유하면서 구체적인 맥락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상호 보완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 활동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설계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opics, sub-elements, and characteristic expressions that constitute feedback content by analyzing teacher feedback contents on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Teacher feedback data consisting of 421 sentences provided to a total of 105 students (73 males, 32 females) were collected from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conducted in four core liberal arts classes at one university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organized using an Excel program,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mixed methods approach applying a text mining technique for quantitative analysis and a content analysis method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our themes of teacher feedback we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text mining technique: (a) discussion participation and exchange of opinions, (b) evidence for arguments, (c) methods of presenting and citing evidence, and (d) selection of positions and argument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method, four intermediate categories (understanding, participation, expression, and evidence) and 11 subcategories were found in the content category, and three intermediate categories (motivation, recognition, and correction) and five subcategories were found in the role category. More specifically, the content of the teacher feedback included praise and confirmation of the process of forming opinions according to an understanding of the topic, recognition and encouragement of participation in discussions, correction of how to explain and present opinions, and review and explanation of evidence collection and us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teacher feedback on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are highlighted.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성희(Jin, Sung-Hee),임고운(Im, Kowoon). (2022).비실시간 온라인 토론 활동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내용분석. 교육학연구, 60 (2), 301-330

MLA

진성희(Jin, Sung-Hee),임고운(Im, Kowoon).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 활동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내용분석." 교육학연구, 60.2(2022): 301-3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