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도 마을공동체의 학교지원에 대한 교육사적 고찰 -제주도 마을교육공동체의 가능성 탐색을 위해-

이용수 394

영문명
Educational Historical Study on the Status of School Support in Jeju-do Village Community: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the Jeju-do Village Education Community
발행기관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저자명
강동호(Kang, Dong-ho)
간행물 정보
『교육과학연구』제24권 제1호, 65~104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주교육사를 통해 제주 미래교육의 가치를 탐색해 보고자 하는 의도에서출발하였다. 연구자는 평소 제주교육사를 공부하면서 제주교육의 미래가치 중 마을교육공동체의 정신적 기반은 제주교육사에서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자의 생각을 검증하는 작업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주지역에 건립된 초등학교 총 134개 학교 중 101개 학교에 마을공동체가 지원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제주도 초등학교 건립의 75%가 마을공동체의 지원으로 건립된 것이다. 1960년대까지로 통계를 한정하면, 90%에 해당하는 학교에 마을공동체의 지원이 있었다. 구체적인 지원 내용으로 부지를 지원한 학교 17개교, 교사(校舍) 건립 지원 2개교, 부지와 교사 모두 지원 학교 59개교, 기타 지원 23개교로 파악되었다. 또한 학교 건립의 지원 주체는 마을주민과 유지(有志)로 나타났으며(총 98개교), 학교건립추진위원회 구성학교는 45개교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도 제주는 작은학교살리기 운동이나 학교의 다목적강당 건립 등에서 마을공동체가 적극적으로 함께하고 있다. 이는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은 마을 주민의 관심과 노력, 참여와 실행에 그 성패가달려있다고 보는 기존 연구 관점에서 볼 때 유의미하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arted with the intention to explore the value of Jeju s future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ng the history of Jeju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village community supported 101 out of a total of 134 elementary schools built in the Jeju area. 75% of the construction of Jeju Elementary School was supported by the village community. If the statistics are limited to the 1960s, 90% of schools received support from the village community. As for the specific support contents, 17 schools were provided with a site for the school site, 2 schools were supported for building classrooms, 59 schools were provided with school sites and classrooms at the same time, and 23 schools were supported with other means. In addition, it was identified that villagers and leaders (a total of 98 schools) were the leading forcesfor school construction support, and 45 schools were established by the Committee for the Promotion of School Construction. Still, the village community i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small-scale school revitalization movement in Jeju and the construction of a school’s multi-purpose auditorium. This is judged to be meaningful in light of the previous studies stressing that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project depends on the interest, effort, participation, and practice of village residents.

목차

Ⅰ. 서론
Ⅱ. 제주도 마을공동체의 특징과 마을교육공동체의 의미
Ⅲ. 제주지역 초등교육기관 설립과 마을공동체의 지원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동호(Kang, Dong-ho). (2022).제주도 마을공동체의 학교지원에 대한 교육사적 고찰 -제주도 마을교육공동체의 가능성 탐색을 위해-. 교육과학연구, 24 (1), 65-104

MLA

강동호(Kang, Dong-ho). "제주도 마을공동체의 학교지원에 대한 교육사적 고찰 -제주도 마을교육공동체의 가능성 탐색을 위해-." 교육과학연구, 24.1(2022): 65-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