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 통합 과학 활동이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
- 영문명
- Effects of Intergrated Science Activity with Picture Book on Young Children s Creativity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전일우(Il-Woo Jun) 김영숙(Young-Sook Kim) 이혜원(Hye-Won Lee) 황윤세(Yoon-Se Hwang)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7권 제1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2.28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 통합 과학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만 4세와 5세 유아 64명이고, 실험집단 유아 37명을 대상으로 10주간에 걸쳐 그림책 통합 과학 활동을 실시한 후 효과를 검증하였다. 첫째, 유아의 창의성 검사에 대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 통합 과학 활동의 창의성 하위항목에 대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 차이를 검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성 하위항목에 대한 인지적 특성의 확산적 사고, 정의적 특성의 호기심, 몰입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독립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육의 실제에서 창의성 교육 및 과학교육의 다양한 교수 · 학습방법과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tegrated science activity with picture-books on young children s creativity.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chosen for this study. 37 kindergartner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treated by a program of integrated science activity with picture-books for 12 sessions. And other 27 kindergartners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which was taught by the traditional picture-books program.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as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which was developed by Rho, Kim, Kim(2006).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for data analysis was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total score of young children s creativity. Therefore, the integrated science activ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reativity.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divergent thinking, curiosity, and commitment. Therefore, the integrated science activ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young children s divergent thinking, curiosity, and commit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육시설 평가인증 과정에서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변화
- 신명‘이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
- 통합적 요가 프로그램이 어린이의 정서지능, 환경에 대한 감수성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유치원 미술활동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아토피의 치료에 관한 양방과 한방, 민간요법과 자연치유법에 관한 고찰
- 그림책 통합 과학 활동이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및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
-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예비유아교사 인식 형성의 패러다임적 의미 탐색
- 유아교육기관의 관리적 리더십, 교수지도 리더십, 변형적 리더십 실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과정의 생태유아교육적 비교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