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교실환경,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학습준비도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43

영문명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for mothers, classroom environment,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heir school readiness
발행기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저자명
문명화(Moon, Myung-Hwa) 문은식(Moon Ehun Shik)
간행물 정보
『생태유아교육연구』제19권 제2호, 23~4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교실환경,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학습준비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Mplus 6.0 프로그램을 이용한 경로분석이 이루어졌고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개의 외생변인(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교실환경)과 내생변인(사회적 유능감)은 2개 경로를 통해 학습준비도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고, 3개 예언변인들의 학습준비도 전체 변량에 대한 설명력은 약 56.1%로 나타났다. 둘째,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결과,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교실환경과 학습준비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감은 유의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학습준비도를 촉진시키는데 사회적 유능감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사회적 유능감에는 교실환경이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for mothers, classroom environment, young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readiness. For this purpose, the seventh year of the Korean Children s Panel was used. The path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plus Ver 6.0,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wo exogenous variables(social support for mothers and classroom environment)and endogenous variables(social competence) have an indirect effect on young children s school readiness through two paths,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total variance of school readiness was about 56.1%.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using bootstrapping, it was verified that social competence was a complete mediating model with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for mothers, young children’s classroom environment and school readiness. This study suggests that social competence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promoting young children’s school readiness, and that the classroom environment has a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ocial competence than social support for mot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명화(Moon, Myung-Hwa),문은식(Moon Ehun Shik). (2020).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교실환경,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학습준비도 간의 구조적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9 (2), 23-45

MLA

문명화(Moon, Myung-Hwa),문은식(Moon Ehun Shik).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교실환경,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학습준비도 간의 구조적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9.2(2020): 23-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