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자의 ‘無’로 다시 본 유아의 앎

이용수 63

영문명
Review on children’s knowing through the Wu(無) of Chuang-tzu
발행기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저자명
임홍남(Hong Nam Im) 김은주(Kim, Eun-Ju)
간행물 정보
『생태유아교육연구』제20권 제2호, 153~18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자의 無의 의미를 통해 유아의 앎을 재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살펴본 장자의 無는 존재를 생성하게 하는 충만함과 경계를 두지 않고 지속하는 성질을 지녔다. 그리고 장자의 無는 자신이라는 존재조차 잊게 하는 열림의 특성을 통해 기존과 초월을 아우르는 포월함의 성격을 지닌다. 이런 측면으로 본 장자의 無는 적극적인 운동성을 지닌다. 이러한 장자의 無로 볼 때 앎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이 하나로 통하며, 지식에 갇히지 않을 때 깨달아 가는 것이자, 物과 하나가 되어 알아가는 것임이 드러났다. 또한 장자의 無로 볼 때 앎은, 物이 자신을 드러내는 것에 밝아지는 것이며, 살아가며 생성해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토대하여 장자의 無로 유아의 앎을 살펴본다면, 유아는 편견 없이 物을 만나 그 자체로 대하고, 物과 하나로 얽힘으로써 物에 대해 밝아진다. 그리고 유아는 자신이 알았던 바를 선지식으로 가지지 않음으로써 살아가며 각기 다른 앎을 생성하고, 깨달으며 그 과정을 즐기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장자의 無를 통해 유아의 앎을 다시 본 것은, 기존의 관점에서 드러나지 못했던 유아의 앎의 다른 측면을 재조명해봄으로써 유아교육에 새로운 관점을 제안해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sit the subject of children s knowing through the wu(無) of Chuang-tzu. Chuang-tzu s wu(無)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t represents the fullness from which all things are created; and it has the lasting ability to see the connectedness of all things. Beings are considered to be intertwined because there are no boundaries, and wu(無) is shown to have an open nature. Since the wu(無) of Chuang-tzu cannot be defined, there seems to be a different generation than before. Thu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u(無) of Chuang-tzu include the existing ones and those that transcend them. Moreover, the wu(無) of Chuang-tzu is in motion, but is invisible. In view of the wu(無) of Chuang-tzu, knowing and not knowing are categorized as the same thing, and when one is not confined to knowledge, one can realize i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wu(無) of Chuang-tzu, knowing becomes known when the subject becomes the one with the object, and the object becomes brighter when revealing itself. Also, Knowing is what we create while we live. Children s knowing, as seen through the wu(無) of Chuang-tzu, is as follows: children meet the object without prejudice, and are intertwined with the object and become one. Thus, children are found to generate different ways of knowing in every moment. In response, children empty their foreknowledge and constantly transform their knowing. Children s knowing is thus, closer to living the real life than to chasing after the given knowledge. In the process, children are in harmony with all the things around. They learn more about the existing values that have been defined in the target, and enjoy such enlighte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regard that it rediscovers children s knowing, especially their fundament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point of view of wu(無), through which they share similar characteristics. Basing on the assumption that children and knowing are the fundamental them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 think this study will pave the way for the progr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장자의 ‘無 로 본 앎
Ⅲ. 장자의 ‘無 로 본 유아의 앎
Ⅳ.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홍남(Hong Nam Im),김은주(Kim, Eun-Ju). (2021).장자의 ‘無’로 다시 본 유아의 앎. 생태유아교육연구, 20 (2), 153-187

MLA

임홍남(Hong Nam Im),김은주(Kim, Eun-Ju). "장자의 ‘無’로 다시 본 유아의 앎." 생태유아교육연구, 20.2(2021): 153-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