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업 설계에서 AI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와 중등교사의 인식 분석

이용수 191

영문명
Analysis of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Using AI in Instructional Design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김진아(Kim, Jinah) 소애진(Xiao, Aijin) 김현지(Kim, Hyunji)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33권 제4호, 655~68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업 설계에서 AI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와 중등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수업 설계의 각 단계에서 AI의 활용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향후 수업에서 AI를 도입하여 활용할 때 기대하는 점과 우려하는 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와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문항에 성실하게 응답한 예비교사 216명, 중등교사 223명, 총 439명의 응답자료를 빈도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 워드클라우드로 분석하였다. 수업 설계에서 AI 활용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7개 문항에서 예비교사와 중등교사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별로 인식 평균이 높은 문항을 분석하였다. 또한 중등교사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예비교사와 중등교사 모두 수업 설계에 AI가 도입되었을 때 ‘학습자>교사>AI’ 순으로 수업의 주도권을 갖는 형태의 수업을 운영해 보고 싶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예상되는 미래 수업의 형태는 ‘AI>학습자>교사’의 순으로 주도권을 갖는 수업의 형태가 될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예비교사는 AI 도입 및 활용 시 편리함과 학습자 분석에 용이함 등을 기대하고 있으며, AI에 지나친 의존과 교사 역할 축소를 우려하였다. 중등교사는 AI 도입 및 활용 시 학습자 분석, 학습자 요구분석, 개인별 맞춤형 수업에 대한 기대가 높았으며, 정서적 요소 간과, 지나친 AI 의존, 정서적 교감 어려움 등을 우려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the use of AI in instructional design. We investigated how they perceive the use of AI at each stage of instructional design, and what they expect and are concerned about when using AI in future classes. For this reason,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pre-service teachers and secondary teachers. There were 216 pre-service teachers and 223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faithfully answered all questions, a total of 439. Respons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word clou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AI utilization in instructional desig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and secondary teachers in seven items. Items with a high recognition average were derived for each group.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econdary teacher career. We also presented the instruction with AI that pre-service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ould like to implement and the future the instruction with AI that are expected. Finally, pre-service teachers expected convenience and ease of learner analysis when using AI. They were concerned about excessive dependence on AI and reduction of teacher roles. On the other h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had high expectations for learner analysis, need analysis of learner, and personalized instruction. They were concerned about overlooking emotional factors, excessive dependence on AI, and difficulty in emotional commun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아(Kim, Jinah),소애진(Xiao, Aijin),김현지(Kim, Hyunji). (2021).수업 설계에서 AI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와 중등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방법연구, 33 (4), 655-681

MLA

김진아(Kim, Jinah),소애진(Xiao, Aijin),김현지(Kim, Hyunji). "수업 설계에서 AI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와 중등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방법연구, 33.4(2021): 655-6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